"7월부터 백신 접종자 자가격리 면제…하루 접종 인원 10배 늘려"

홍남기 "하반기 거리두기 완화"

국민 70% 11월까지 두 번 접종
월별 공급 계획은 확정 안 돼

일반인 접종 시기 오락가락
"5월→7월" 반나절 만에 말바꿔
꼬였던 백신 수급 실타래를 푼 정부가 ‘접종 속도전’에 나섰다. 다음달부터 만 64세 이상 일반인 접종을 시작해 9월 말까지는 3600만 명이 한 번 이상 백신을 맞을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대로라면 ‘11월 집단면역’이 이뤄져 이스라엘 등 해외에서처럼 일상으로의 복귀가 가능해진다. 다만 정부가 계획한 일정대로 백신이 국내에 들어와야 가능한 시나리오다.

경찰·소방관 AZ 접종 시작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대국민 담화에서 “5월부터는 접종 연령을 낮춰 일반 국민 대상 접종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했다. 지금까지는 75세 이상 고령층과 의료진, 경찰 등 사회필수인력을 우선 접종군으로 분류해 접종하고 있다. 하지만 다음달 초부터는 만 65~74세 고령층을 대상으로 먼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신청을 받고, 순차적으로 일반 성인(만 18~64세)의 신청을 접수할 계획이다. 방역당국은 이날 브리핑에서 “65~74세 어르신 예방 접종을 포함해 다른 연령층까지 5월 하순부터 6월까지 접종이 이어진다”고 발표했으나 “일반 성인의 접종은 당초 예정대로 하반기에 진행한다”고 반나절 만에 정정했다.

정부는 백신 수급 문제가 풀리면서 접종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코백스퍼실리티로부터 상반기에 들여오는 물량은 1809만 회분이다. 정부가 상반기 목표로 하는 접종자 1200만 명이 2차 접종까지 마치기에는 부족하다. 하지만 한 번 맞는 것으로도 예방 효과가 있는 것을 감안해 1차 접종 대상을 늘려 최대한 많은 인원에게 접종하기로 했다. 노바백스 모더나 얀센으로부터 상반기 271만 회분을 들여오고 하반기 화이자 백신 2000만 명분을 추가로 가져오면 수급난은 겪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소방관 등 사회필수인력 17만6000여 명에 대해서는 이날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을 시작했다. 당초 6월로 예정돼 있었으나 1개월가량 앞당겼다. 투석 환자 등 만성신장질환자(7만8000여 명)와 약국 종사자 등 보건의료인(29만4000여 명)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기 시작했다. 군인은 오는 28일부터 접종을 개시할 계획이다. 초·중·고등학교 교원 및 종사자는 다음달 초등학교 1·2학년 교사부터 접종을 시작하고, 3분기 중 나머지 접종 대상자에 대해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방역당국은 접종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하루 접종 가능 인원을 10배가량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는 하루 접종 가능 인원이 15만 명이지만 다음달 말까지 150만 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3분기부터는 일반 병원에서도 화이자 백신을 접종할 계획이다. 방역당국은 오는 9월까지 전 국민의 70%에 해당하는 3600만 명에 대해 1차 접종을 끝내고, 11월까지 2차 접종도 마치겠다는 목표다.

“고령층 1차 접종 끝나면 거리두기 완화”

정부는 올 6월까지 고령층·고위험군 등 1200만 명의 1차 접종을 완료하면 5인 이상 모임 금지를 비롯한 방역수칙도 완화하겠다고 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6월까지 고령층 및 취약시설에 계신 분들에 대한 1차 접종이 끝나면 코로나 확산 위험성이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며 “이분들이 어느 정도 면역력이 형성되면 5인 이상 모임 금지 조치를 완화하거나 거리두기 체계에서 각종 규제를 풀어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예방 접종을 마친 사람에게 전자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해 확진자 접촉 및 출입국 시 자가격리의무를 면제해 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어떤 접종 그룹에 무슨 종류의 백신을 맞힐지는 확정되지 않았다.이날 정부는 백신 수급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플러스알파를 더해 4월 말까지와 상반기 접종 인원을 더 늘리고 집단면역 형성도 더 앞당기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고 했다.

화이자 모더나 등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의 국내 기술이전 가능성도 시사했다. 홍 총리대행은 “현재 글로벌 제약사와의 연구 협약을 통해 (mRNA 백신의) 기술 확보에 대해 노력하는 중”이라고 했다.

이선아/강영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