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인플레이션

www.tesat.or.kr
[문제1] 인플레이션이 초래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조세제도를 왜곡한다.
(2) 일반적으로 돈을 빌려준 사람이 불리하다.
(3) 기업의 이윤을 더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4) 실물 대신 현금을 더 많이 보유한 기업들이 불리하다.
(5) 기업들로 하여금 재화의 가격을 조정하는 데 드는 비용을 발생시킨다.[해설]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상된 인플레이션은 이자율 등이 조정되기 때문에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까닭에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인플레이션은 경제 주체들 간 소득이 재분배되는 효과를 낳는다. 화폐가치가 하락해 돈을 빌려준 사람은 손해를 보고 빌려 간 사람은 이익을 본다. 또 실물자산을 보유한 경제주체가 현금 자산을 보유한 경제주체보다 유리해진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부동산, 금 등에 대한 투기가 성행하게 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재화의 가격을 조정하면서 메뉴비용(menu cost)이 발생한다. 또한, 장기계약을 맺기가 힘들어져 경제 전반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기업의 실질적인 손익을 파악하기란 어려워질 것이다. [정답] (3)
[문제2] 경제학자와 저작물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무엇인가?

(1) 존 스튜어트 밀-도덕감정론
(2) 케인스-고용, 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
(3) 조지프 슘페터-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4) 밀턴 프리드먼-자본주의와 자유
(5) 칼 멩거-국민경제학의 기본원리

[해설] 도덕감정론은 영국의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가 1759년 출판한 책이다. [정답] (1)
[문제3] 현실 경제에서는 완전경쟁시장보다 과점시장이 많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과점시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상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1) 담합과 카르텔이 나타난다.
(2) 비가격경쟁이 치열하다.
(3) 가격이 신축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4) 개별 기업의 전략적 행동은 나타나지 않는다.
(5) 희소한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해설] 과점시장은 상품을 소수 기업이 시장 수요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시장 형태를 말한다. 과점시장은 현실에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시장형태이기도 하다. 과점시장은 소수의 기업이 존재하므로 개별기업의 행동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하고 상호의존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비가격 경쟁이 치열하다. 과점시장은 경쟁기업의 행동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 데 이를 게임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정답] (4)
[문제4]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일컫는 말로, 정부나 기업 등 중앙기관의 통제 없이 인터넷 연결만 가능하면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와이파이
(2) P2P
(3) 디파이
(4) 신용공여
(5) 커스터디[해설] 디파이란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한 탈중앙화 금융을 말한다. 금융 시스템에서는 중개자인 금융회사 없이도 결제, 송금, 예금, 대출, 투자 등 모든 금융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게 목표다. 코인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내주거나, 코인을 예치하면 파격적 이자를 주는 디파이 서비스가 2020년 많은 인기를 누렸었다. [정답] (3)
▶ 4월 21일 수요일자 테샛 문제 정답

[문제1] (4)
[문제2] (2)
[문제3] (2)
[문제4] (3)
■ 기저효과(Base Effect)

비교 대상 시점(기준 시점)의 상황이 현재 상황과 너무 큰 차이가 있어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호황기를 기준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과 비교하면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되게 나타나고,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 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나게 된다. 반사효과라고도 한다.■ 우회상장(Back-Door Listing)

장외기업이 상장심사나 공모주 청약 등의 절차를 밟지 않고 상장기업과의 합병, 포괄적 주식 교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등을 통해 상장기업의 지분을 인수한 뒤 합병을 통해 곧바로 장내로 진입하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상장 요건을 갖추지 못한 기업이 활용한다.

■ 이스털린의 역설(Easterlin Paradox)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 기본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늘어도 행복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론이다. 미국 경제사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이 1974년 주장한 개념이다. 그는 1946년부터 빈곤국과 부유한 국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국가 등 30개 국가의 행복도를 연구했는데,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행복도와 소득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현상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