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低=주가 상승'…日 30년 공식 깨졌다
입력
수정
지면A12
수출기업이 이끌었던 도쿄 증시일본 증시에서 지난 30년 동안 이어져온 ‘엔화 가치가 떨어지면 일본 증시는 상승한다’는 공식이 흔들리고 있다.
환율 영향 덜받는 IT社가 주도
미국과 일본의 금리 격차 축소
엔화는 '안전자산' 믿음 흔들려
지난해 초 코로나19 사태가 세계 금융시장을 강타하면서 안전자산으로 통하는 엔화 가치는 예상과 달리 급락했다. 하반기에는 엔화 가치가 꾸준히 오르는데도 닛케이225지수가 떨어지기는커녕 30여 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선 엔화 가치가 하락하는데도 주가는 박스권에 갇히는 이변이 지속되고 있다.니혼게이자이신문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금융시장이 일본의 산업구조 변화, 미국과 일본의 금리 격차, 주요국의 재정·금융완화 정책 등 재료를 평소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 공식이 깨졌다고 진단했다.
“진짜 안전자산은 달러”
‘엔저=일본 증시 상승’은 수출 중심인 일본의 산업구조가 만들어낸 공식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자동차, 전자 등 도쿄증시를 주도하는 대표 기업들이 대부분 수출 기업이어서 엔화 가치가 떨어질수록 기업 이익은 늘고, 주가는 올랐다는 설명이다. 엔화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면 가치가 오르는 것이 지금까지의 추세였다.하지만 작년 3월 ‘코로나 쇼크’로 세계 증시가 폭락했을 때 일시적으로 오르는 듯했던 엔화 가치는 달러당 111.43엔까지 하락(환율은 상승)했다. 세계적인 주가 폭락으로 자금 흐름이 경색되면 무역과 금융거래 결제자금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는 공포에 질린 투자자들이 최대 기축통화인 달러를 앞다퉈 사들인 결과였다. ‘진짜 위기에는 달러를 매수하라’는 20세기 금융시장의 격언이 21세기에 재연되면서 엔화의 지위가 흔들린 것이다.작년 하반기에는 엔화 가치와 닛케이225지수가 동반 상승하는 두 번째 이변이 발생했다. ‘엔고=일본 증시 하락’의 법칙이 무너진 건 미국의 금융정책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경기 부양을 위해 ‘제로금리’ 정책을 장기간 지속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미국과 일본의 금리 격차가 급격히 줄었다. 금리 차가 줄어들자 투자자금이 달러에서 엔화로 몰리면서 엔화 가치는 오르고 달러 가치는 하락했다.
엔화 가치가 오르는데도 일본 증시가 상승한 건 일본의 산업구조가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던 디지털화가 1년 남짓 만에 이뤄지면서 시장을 주도하는 종목이 수출주에서 정보기술(IT)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이케다 유노스케 노무라증권 수석 외환전략가는 “주가가 환율에 좌우되지 않는 하이테크 성장주들이 급등했다”고 했다.
수출 주도 시대 저물어
올해 초엔 엔저 현상이 두드러졌는데도 주가가 오르지 않는 세 번째 이변이 발생했다. 이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재정완화 정책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의 장기 금리는 올 들어 연 1% 후반대까지 급등했다. 미·일 간 금리 차가 벌어지면서 지난 2일 달러당 엔화 가치는 110.67엔까지 추락했다. 주식시장에서는 주요국이 금융완화 정책을 축소해 유동성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었다.엔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주가 상승 압력과 유동성 축소 우려가 만든 하향 압력이 힘겨루기를 하면서 주가가 박스권에 갇혔다는 설명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엔저=일본 증시 상승’의 공식이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노동인구 감소와 시장 포화를 이유로 일본 기업들이 생산거점을 해외로 옮긴 결과 ‘수출 대국 일본’ ‘무역흑자국 일본’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어서다. 일본의 무역수지는 2015년 이후 세 차례 연간 적자를 기록했다. 2016년 4조엔에 달했던 흑자 규모도 1조엔을 밑돌았다. 이 때문에 수출이 일본 금융시장을 좌우하던 시대가 저물고 있다는 진단이 힘을 얻고 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