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1만명 유전자 정보 해독' 끝냈다
입력
수정
지면A28
UNIST와 공동…5년만에 성과울산시와 UNIST(울산과학기술원)가 개인 유전자 정보인 게놈을 해독해 100세 무병 시대를 열어가는 ‘1만 명 게놈 해독 사업’을 5년여 만에 완료했다.
맞춤형 의료데이터 기반 구축
市, 내년말까지 게놈특구 조성
신약개발 등 바이오산업 육성
UNIST는 2016년 울산 1만 명 게놈프로젝트 추진에 나서 건강인 4700명, 질환자 5300명 등 총 1만44명의 게놈 정보를 수집·해독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이 사업을 주도한 박종화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1만 명 분량의 게놈 정보를 기반으로 질병 예측부터 치료까지 한국인을 위한 맞춤형 의료 데이터 기반 구축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UNIST가 구축한 게놈 정보(Korea10K)는 영국 MRC(의학연구위원회)센터, 케임브리지대, 미국 UC버클리, 서울대, KAIST 등에 연구자료로 제공됐다. 울산시는 이 프로젝트 후속으로 게놈특구 조성을 통한 바이오 산업화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시는 2022년 11월까지 총사업비 407억원을 들여 UNIST와 울산 테크노일반산업단지 등 5개 지역에 1.19㎢ 규모의 게놈 특구를 조성한다. 지난해 7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받았다.
울산시는 이를 기반으로 바이오헬스케어와 정밀의료 서비스산업을 활성화하고 심혈관 질환 등의 맞춤형 진단 마커를 개발할 계획이다. 감염병 대응을 위한 유전체 분석 및 신약 개발 등에도 나선다.울산시는 이들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면 울산에 첨단 바이오 산업단지 구축과 100만 명 국가 바이오빅데이터 사업 참여, 국립게놈기술원 유치 등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울산을 세계적인 바이오헬스 중심 도시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울산=하인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