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개인투자자 주식 매수 '올인'…'주식 버블' 경고도
입력
수정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기준 미국 가계의 금융자산 중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41%에 이른다. 1952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2009년 3월말 18%로 뚝 떨어졌던 미국 가계의 주식 자산 비중은 지난해 말 38%까지 오른 뒤 상승세를 유지했다. 앞서 가장 높았던 때는 닷컴 버블 바람을 타고 주식 투자가 급격히 늘었던 2000년 3월 말(38%)이다.
경기 부양으로 가계 지출이 늘고 기업 실적이 개선되면서 주가가 오르고 있다. 미국 국채 금리가 1.6%에 머무는 등 채권 수익률이 낮은 것도 개인이 주식에 자산을 집중한 이유다.
개인 투자자들은 주가가 떨어질 때에도 추가 매수에 나서 주가를 부양했다. 하락장에서 주식을 매도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는 데 도움되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했기 때문이라고 WSJ는 분석했다. 헤지펀드 등은 최근 주식시장에서 매도세로 돌아섰지만 개인들은 9주 연속 순매수했다.반다 리서치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은 S&P500이 상승할 때보다 1% 하락할 때 주식을 더 많이 매입하려 했다. 대출 받아 투자하는 '빚투'도 급증했다. 미 금융산업규제국(FINRA)에 따르면 지난달 신용증거금은 8230억 달러로 역대 최대다. 지난해 3월 4790억달러에서 두배 가까이 늘었다.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은 물론 암호화폐 등 다양한 상품에 묻지마 투자를 하면서 거품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니콜라스 파니지르조 JP모간 애널리스트는 "개인 투자자들이 갑자기 빠져나오기 시작하면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저축액은 5조4000억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6%가 넘는다. 움츠렀던 개인들이 보복소비에 나서면 기업들의 장기 실적 개선에 도움될 것이라는 평가가 많지만 소비 여력이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미국 중앙은행(Fed) 조사 결과 코로나19로 증가한 2조 달러 예금 중 3분의 2 이상이 소득 상위 20%에 집중됐다. 70세 이상 고령층의 저축은 6640억 달러 증가했지만 40세 미만 성인은 2450억 달러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고령층 부자들의 저축액이 가장 많이 늘었다는 의미다. 플로린 빌비에 로잔대 경제학과 교수는 "많은 사람이 레스토랑에서 식사하고 멋진 휴가를 보내겠지만 얼마나 많이 늘어날지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