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바이든 연설은 北에게 자극적…인권 지적하면 안 돼"
입력
수정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의회 연설은 북한에게 자극적이었다”고 말했다. 북한을 대화로 이끌기 위해서는 북한 인권 문제를 지적해서는 안 된다는 점도 강조했다.
정 부의장은 3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북한과 이란 핵 프로그램을 미국과 세계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식으로 성격 규정을 한 것은 북한으로서는 ‘제2의 악의 축 발언’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의회 연설에서 “북한과 이란의 핵 프로그램이 미국과 세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비판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정 부의장은 “2002년 1월말 당시 부시 대통령이 의회 연설에서 북한, 이란, 이라크를 ‘악의 축’이라 규정하면서 이 세 나라는 가만 안 두겠다 하는 얘기를 한 바 있었다”며 “이라크 문제는 해결됐지만 아직도 이란과 북한은 우리를 귀찮게 한다는 식으로 바이든 대통령이 얘기를 한 것에 대해서 북한은 주목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북핵 위협에 대한 ‘단호한 억지’를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상대방이 행동을 할 때 막는 것이 아니라 미리 움직이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을 억제라고 성격 규정을 해 긴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앞서 지난 2일 권정근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 명의로 성명을 내고 “미국 집권자가 첫 시정연설에서 대(對)조선 입장을 이런 식으로 밝힌 데 대해서는 묵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의 연설을 “큰 실수”로 평가하며 “미국의 새로운 대조선정책의 근간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 선명해진 이상 우리는 부득불 그에 '상응한 조치'들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부의장은 미국이 북한이 원하는 해결책을 내놓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그는 “북한은 일체 회담에 응할 생각조차 없다는 얘기를 여러 번 했고 이번에도 북한이 바라는 셈법은 나오지 않았다”며 “한·미·일 등 동맹국과 협조하며 북핵 문제를 풀겠다했는데 일본을 끼워 넣는 것도 북한에게 자극이 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바이든 행정부가 강조하는 북한 인권 문제는 제기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 부의장은 “인권 문제는 넣지 말고 셈법을 분명히 해야만 (대화에) 나올 것”이라며 “(북한은) 셈법이 분명하지 않으면 일체 움직이지 않겠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바이든 행정부가 미·북 싱가포르 합의 정신을 이해한 것 같다는 낙관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정 부의장은 “(비핵화 문제는) 단계별로 쪼개서 접근해야 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일괄 타결하지 않겠다는 이야기는 북핵 문제의 성격을 지금 바이든 정부는 제대로 이해를 했다는 뜻”이라며 “싱가포르의 정신을 바이든 정부가 그대로 이어받았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한·미를 겨냥해 하루에 세 개의 비방 담화를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자신들의 요구를 전해달라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 주장했다. 정 부의장은 오는 21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과 북한이 무엇을 주고 받고하는 애기가 나와야 한다”며 “(북한은) 한국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을 만나서 그런 문제를 해결해달라는 의미도 담겨있다”고 주장했다.
송영찬 기자
정 부의장은 3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북한과 이란 핵 프로그램을 미국과 세계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식으로 성격 규정을 한 것은 북한으로서는 ‘제2의 악의 축 발언’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의회 연설에서 “북한과 이란의 핵 프로그램이 미국과 세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비판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정 부의장은 “2002년 1월말 당시 부시 대통령이 의회 연설에서 북한, 이란, 이라크를 ‘악의 축’이라 규정하면서 이 세 나라는 가만 안 두겠다 하는 얘기를 한 바 있었다”며 “이라크 문제는 해결됐지만 아직도 이란과 북한은 우리를 귀찮게 한다는 식으로 바이든 대통령이 얘기를 한 것에 대해서 북한은 주목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북핵 위협에 대한 ‘단호한 억지’를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상대방이 행동을 할 때 막는 것이 아니라 미리 움직이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을 억제라고 성격 규정을 해 긴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앞서 지난 2일 권정근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 명의로 성명을 내고 “미국 집권자가 첫 시정연설에서 대(對)조선 입장을 이런 식으로 밝힌 데 대해서는 묵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의 연설을 “큰 실수”로 평가하며 “미국의 새로운 대조선정책의 근간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 선명해진 이상 우리는 부득불 그에 '상응한 조치'들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부의장은 미국이 북한이 원하는 해결책을 내놓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그는 “북한은 일체 회담에 응할 생각조차 없다는 얘기를 여러 번 했고 이번에도 북한이 바라는 셈법은 나오지 않았다”며 “한·미·일 등 동맹국과 협조하며 북핵 문제를 풀겠다했는데 일본을 끼워 넣는 것도 북한에게 자극이 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바이든 행정부가 강조하는 북한 인권 문제는 제기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 부의장은 “인권 문제는 넣지 말고 셈법을 분명히 해야만 (대화에) 나올 것”이라며 “(북한은) 셈법이 분명하지 않으면 일체 움직이지 않겠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바이든 행정부가 미·북 싱가포르 합의 정신을 이해한 것 같다는 낙관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정 부의장은 “(비핵화 문제는) 단계별로 쪼개서 접근해야 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일괄 타결하지 않겠다는 이야기는 북핵 문제의 성격을 지금 바이든 정부는 제대로 이해를 했다는 뜻”이라며 “싱가포르의 정신을 바이든 정부가 그대로 이어받았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한·미를 겨냥해 하루에 세 개의 비방 담화를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자신들의 요구를 전해달라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 주장했다. 정 부의장은 오는 21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과 북한이 무엇을 주고 받고하는 애기가 나와야 한다”며 “(북한은) 한국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을 만나서 그런 문제를 해결해달라는 의미도 담겨있다”고 주장했다.
송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