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수혈 안되니 키워서 쓴다는 은행들
입력
수정
지면A5
4대 시중은행 내부교육 주력신한·국민·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에서 디지털 금융·인공지능(AI)·빅데이터 분석 등 정보기술(IT) 전문가 과정을 수료한 내부 직원이 총 150여 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수 개발 인력이 빅테크로 몰리는 등 채용이 어려워지자 내부 직원을 전문가로 직접 양성하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디지털금융·데이터분석 석사 등
1년간 전문인력 158명 육성
2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4대 은행이 각종 연수 과정을 통해 양성한 디지털 전문 인력은 총 158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은행은 2018년 국민은행을 시작으로 신한·하나(지난해), 우리은행(올해)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관련 연수 과정을 속속 도입했다. 은행들은 기초지식 함양(레벨1), 코딩 실무(레벨2), AI 또는 경영전문대학원(레벨3) 등 단계별 교육 시스템도 갖췄다.
국민은행은 올해부터 수업 때마다 과제 제출 또는 시험에 통과해야만 수료할 수 있도록 교육 강도를 크게 높였지만 디지털 금융과 데이터 분석 영역에서만 각각 1800명, 532명이 지원할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 2년간 최종 레벨까지 통과한 직원은 각각 12명, 16명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올해 해외 온라인 석사학위 과정인 코세라 등 신규 프로그램도 곧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도 디지털 교육과정에 참여한 인원만 1만3000명에 달한다. 가장 난도가 높은 ‘디지털 스페셜리스트’(석사)에 참여한 직원은 53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신한금융이 전 계열사에서 선발하는 고려대 금융공학 및 AI 석사 과정을 통해 위탁교육을 받고 있다. 올해부터 자격증 취득을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베이직’과 AI·데이터 분석 전공 교육을 받는 ‘디지털 챔피언’ 등 과정도 새로 마련했다. 디지털 챔피언 과정에는 파이썬과 텐서플로, 신용평가 모형 개발 등의 교과목이 들어간다.하나은행은 총 80여 개 과목으로 구성된 ‘DT 유니버시티’를 지난해 6월 선보였다. 1만398명이 레벨1을 수강했는데, 레벨2까지 통과하고 레벨3에 도전 중인 인원은 47명이다. 하나은행은 자격증 취득 전문 과정도 따로 꾸렸다.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대비반에는 322명, SQL 개발자(SQLD) 대비반에는 200명이 참여했다.
우리은행도 올해부터 전 직원 대상의 디지털 연수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디지털 인사이트(9600명), 디지털 예비인력 양성(800명), 디지털 전문인력(30명) 순으로 난도가 높다. 디지털 전문인력으로 뽑힌 30명은 KAIST 디지털금융 전문가과정(20명)과 금융·IT 융합 AI·DX과정(10명)에서 각각 4개월간 연수를 받는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은행에 데려올 수 있는 디지털 인력이 과거보다 역량이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차라리 내부 직원의 전문성을 키우는 게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