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이익에도 사람 못뽑는 은행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銀
디지털시대 일반직 수요 '뚝'
신규채용 3년새 10분의 1로

개발자 수요도 급증하는데
고용 경직성이 채용 걸림돌
국내 5대 은행이 올해 새로 채용하는 인원이 3년 새 10분의 1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유일하게 상반기 신입 공채(340명)를 한 농협은행을 제외하면 4대 시중은행이 올 들어 신규 채용한 직원은 경력직 29명에 불과했다. 매년 2000~3000명씩 뽑던 대형 은행의 채용문이 급격히 좁아진 것이다. 디지털 전환을 서두르며 영업점 인력을 줄이고 디지털 인재를 확보해야 하는데 경직된 채용 절차와 낡은 호봉제 등에 발목 잡혀 ‘뽑고 싶어도 못 뽑는다’는 게 은행들의 설명이다.

6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에서 받은 채용 실적·계획 자료에 따르면 5대 은행이 올해 뽑았거나 뽑기로 확정한 인원은 369명이다. 지난해(1335명)보다 73% 줄었다. 통상 해오던 상반기 신입 공채를 미룬 신한·우리은행은 물론 하반기 채용을 주로 하는 국민·하나은행도 올해 채용 계획을 못 정했다. 2018년 3443명에 달하던 5대 은행의 채용 인원은 2019년 2564명(-26%), 2020년 1335명(-48%)으로 급감했다. 은행계 금융지주 대부분이 지난해에 이어 올 1분기에도 역대 최대 실적을 냈지만 채용 가뭄은 더 심해지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내점 고객이 줄고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일반직 행원 수요 자체가 없다”고 말했다.더 큰 원인은 은행들이 수요가 폭증하는 디지털 인재 수혈에 실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은행권은 ‘전통 은행원’을 줄이는 대신 프로그램 개발자와 인공지능(AI)·빅데이터 전문가 등 디지털 인력 확보에는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디지털 인력의 수요는 은행마다 200~300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지만 채용 인원은 턱없이 적다. 경직된 채용 절차와 호봉제 등 시대에 뒤떨어진 노사관계 등으로 빅테크와의 채용 경쟁에서 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금융지주 고위 관계자는 “신규 채용 수요는 디지털 분야에서 발생한다는 건 금융뿐 아니라 모든 산업에서 마찬가지”라며 “채용 가뭄은 우수 디지털 인재를 선점하려는 경쟁에서 은행이 뒤처진 결과”라고 말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