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논술길잡이] "공통점과 차이점을 견준 뒤 차이의 원인을 따져보는 순서로 해야"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지난 시간에 이어, 과제로 드렸던 연세대 2020학년도 수시 기출논제 1-1번의 답안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소문’을 중심으로 각 제시문의 관점이나 논지를 정리하는 것이 우선이겠지요? (가)는 소문을 당연하고 불가피한 것이라고 여기는 필자의 관점을 보여줍니다. 소문은 인간의 불완전한 인지능력의 특성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런데 (나)에서 소문은 인간의 특성이 아니라 사회적 특성 때문에 발생합니다. 소문은 사회적 심각성이나 중요도 등 사회 변화와 관련해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소문을 긍정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네요. 반면 (다)는 소문을 부정적으로 바라봅니다. 소문은 개인이 억제할 수 있는데, 자극적인 정보를 선호하는 사람들과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언론의 특성이 맞물려 인위적이고 왜곡된 정보로서 소문이 발생한다는 것이 (다)의 주된 논지입니다. 서로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견주는 것이 비교입니다. 서로간의 특성을 이리저리 견주어 보세요. 그리고 이런 차이가 왜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단순한 분석 전달이 아니라 논리적인 생각을 드러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조금 감이 오나요? 생각이 정돈되었다면 글로 전개하기 위해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지난 시간의 형태처럼 기본적인 전개 형식을 취한다면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 예시답안 >

(가)는 사건에 대한 사람들의 지각과 기억이 주관적이고 불완전하기에 소문이 발생한다고 본다. 이러한 소문은 사람들의 일상적인 모임 장소에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다. 또한 불분명한 정보가 더 새롭고 흥미로운 이야기로 꾸며질수록 빠르게 확산된다. (가)는 이러한 현상을 순전히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불완전한 인지 능력의 특성상 불가피하고 당연한 것으로 본다.(나)는 소문의 발생과 확산 원인을 사회가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속성에서 찾는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새로운 사건들에 대한 정보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부족해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응에 필요한 정보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기존 언론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때, 사람들은 소문을 통해 정보에 대한 갈망을 충족한다는 것이다. (나)는 사회적 중요도와 심각성이 소문 발생과 확산의 원인이라고 본다는 점에서 인간적 흥미에 기반을 둔 (가)와의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다)는 소문의 발생과 확산이 자극적인 정보를 선호하는 사람들과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언론의 산물이라 보고, 부정적인 관점을 드러낸다. 이것이 (가), (나)와의 근본적 차이점이다. 또한 개인이 선정적이고 한시적인 정보가 아니라 불변하는 진실에 다가가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소문의 확산이 억제될 수 있다고 암시한다. 한편 자극과 흥미가 소문의 발원과 확산이라고 보는 관점은 (가)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가)는 진실의 규명을 회의적으로 바라본 반면 (다)는 진실의 존재를 전제하기 때문에 소문에 대한 태도가 달라지는 것이다.
자, 여기까지 15회차의 칼럼을 마무리지어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견주고 비교하기, 요약하기, 비판하고 평가하기, 인문학적 추론, 다각도의 비교 등 다양한 기본유형에 대해서 기초부터 단단히 다져왔습니다. 논술을 준비하길 원하지만 체계적인 도움을 받을 곳이 마땅치 않은 수험생들은 생글생글의 인문논술칼럼 1회차부터 시작해 15회차까지의 커리큘럼을 정주행하세요. 그리고 다음부터 이어질 실전논술 커리큘럼을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대입 인문계열 논술고사의 물음은 크게 요약, 비교, 비판, 적용설명, 문제해결, 견해논증 등의 유형으로 쪼개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위의 6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출제됩니다. 이 물음들에 대해서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제한된 시간과 분량 안에 문제를 풀어보는 것도 상당히 중요한 예비사항입니다. 대학들은 논술고사에 대해서 1년 정도의 준비기간을 권장합니다. 그 기간 동안 각 대학의 기출문제를 반복해 풀어보길 권유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수많은 학생들 사이에서 경쟁력 있는 답안을 쓰기 위해서는 각 문제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자신의 글쓰기 문제점을 수차례 수정하면서 정돈된 답안 작성 능력을 키워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전에서는 시간의 문제도 중요합니다. 인문논술의 답안 작성 시간은 상당히 부족한 편입니다. 성균관대를 예로 들어보자면 100분 동안 3문항을 작성해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 합격생들의 답안을 살펴보면 1번 800자가량, 그리고 2번과 3번은 각각 1000자에서 1200자가량의 답안분량을 기록합니다. 합치면 1시간40분 동안 거의 3000자에 육박하는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문제를 읽고 분석하고 답안 작성을 계획하고 실제 답안을 작성한 후 퇴고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3000자가량의 답안을 생산해야 한다는 것은 상당히 부담이 되기 때문에, 이 학교의 문제 유형을 여러 번 숙달해서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논술고사는 실기시험입니다. 따라서 제대로 연습해 체득한다면, 연습할 때마다 더 나은 기록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다행히 학교마다 유형의 전통이 있어서 목표로 한 대학에 대해 집중 연습한다면 새로운 문제를 만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풀어낼 수 있습니다. 첨부한 <표>에는 대학별 논술고사 분량과 시간, 그리고 문항수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두었습니다. 여러분이 목표로 삼고 있는 학교에 동그라미를 쳐 보세요. 그리고 그 학교의 문제들을 각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내려받아 눈으로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뚜렷한 목표의식이 있을수록 공부를 열심히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실제 기출문제들이나 예상문제들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실제로 합격생들이 연습했던 자료와 유사하므로, 전국 생글생글 독자들에게 유용한 지면 수업이 될 것이라고 자신합니다. 가능하면 친구들과 모둠을 만들어 보세요. 서로 답안을 작성하고 번갈아 첨삭을 해 보면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 볼게요!

☞ 포인트

프라임리더스 인문계 대표강사
서로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견주는 것이 비교입니다. 서로간의 특성을 이리저리 견주어 보세요. 그리고 이런 차이가 왜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단순한 분석 전달이 아니라 논리적인 생각을 드러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