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이낙연 싱크탱크 이끄는 김경수 교수 "증세 최소화한 복지 위한 혁신과제 마련에 집중"
입력
수정
10일 '연대와 공생' 심포지엄 개최“복지·재정·조세의 상충관계를 뜻하는 ‘재정 트릴레마’를 해결하기 위해선 혁신이 꼭 필요합니다.”
“文정부, 혁신 부족해 아쉬웠다”
'긱 이코노미' 등 신노동 걸맞은 교육 필요
복지정책은 공급자→수요자 전환
김경수 성균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68·사진)은 9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시대적 당위인 혁신 과제를 마련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김 교수는 국내 경제학계를 대표하는 거시경제학자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이후 미국 툴레인대를 거쳐 1988년부터 성균관대에 재직하면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장(2007~2011년), 한국금융학회장(2013년), 한국경제학회장(2018년) 등을 역임했다.
주로 학계에 머물며 현실 정치와 거리를 뒀던 김 교수는 지난해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싱크탱크인 ‘연대와 공생’ 대표를 맡았다. 연대와 공생은 오는 10일 공식 출범과 함께 이 전 대표의 슬로건인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 예정이다.
연대와 공생 대표를 맡게 된 계기를 묻자 김 교수는 “원래 이 전 대표와 특별히 개인적인 인연은 없었다”며 “이 전 대표가 국무총리를 지내던 시절 각종 위원회 등에서 만났는데 언행이 절제돼 있고 시간 약속을 잘 지키는 등 자기 규율이 철저하다는 점에 끌렸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의 대확산(팬데믹)과 기술혁명이 정치에 큰 숙제를 안겨줬다고 봤다. 그는 “팬데믹 이후 정부의 역할이 굉장히 바뀌었고 기술혁명도 더욱 가속화됐다”고 설명했다.
한국 사회의 고질적 문제인 양극화에 대해선 기존의 전통적인 재분배 정책 이외에 ‘신노동’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디지털 경제로 접어들면서 배달 등 플랫폼 산업 노동자로 대표되는 ‘긱 이코노미’로 노동 형태가 바뀌고 있다”며 “이런 신노동을 경험한 청년세대들을 사회·경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등 선순환 체계 구축이 중요해졌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정부에 대해 김 교수는 “가장 아쉬웠던 것은 혁신이 부족했다는 점”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가 지난 3월말 ‘아시아태평양 500대 고성장 기업’을 선정한 결과를 예로 들었다.김 교수는 “FT 자료를 보면 일본이 116개로 가장 많고 인도 95개, 싱가포르 72개 순”이라며 “싱가포르보다 인구가 8배나 많은 한국이 22개에 불과하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라고 일갈했다.
혁신은 당면한 재정 트릴레마 해결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높은 복지수준·낮은 국가채무 비율·낮은 조세부담률’ 간 상충관계가 지속되는 와중에 증세 논의가 나오고 있다”며 “증세가 현실화되면 중산층이 많은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전 대표가 강조하는 ‘신복지’는 수요자 중심의 복지체계로 설명했다. 김 교수는 “지금은 공급자 위주로 복지체계가 짜여 있다 보니 부처별·지자체별 복지정책이 중복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며 “수요자의 생애주기 맞춤형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또 김 교수는 “2014년 ‘송파 세 모녀’ 사건처럼 복지 안전망에서 소외되거나 누수가 일어나는 일이 없도록 방지하는 게 중요하다”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복지 플랫폼 구축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오형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