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 COMPANY] 안지오랩, 혈관신생 억제하는 천연물로 NASH 정복 도전
입력
수정
안지오랩은 지방 축적, 섬유화, 염증 3가지 모두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현재 혈관신생억제 효과가 있는 천연물로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다. 오는 3분기 중 임상 결과 데이터를 확보한 뒤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NASH뿐만 아니라 복부비만, 습성황반변성, 삼출성 중이염 등 혈관신생 관련 질환 치료제도 개발 중이다.안지오랩은 혈관신생억제제 개발에 특화된 기업이다. 사명도 혈관신생을 뜻하는 ‘angiogenesis’에서 따왔다. 이화여대 약대 출신인 김민영 대표가 한효과학기술원에서 혈관신생을 연구하던 중 혈관 신생억제제 분야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1999년 이 회사를 세웠다.
이 회사의 대표 신약 후보물질은 멜리사 잎에서 유래한 천연물로 만든 ‘ALS-1023’이다. 이 후보물질로 가장 개발 속도가 빠른 파이프라인은 복부비만을 대상으로 한 ‘AL101-AOB’로 임상 2b상을 이미 마쳤다.5월 말 임상 2a상 마지막 환자 투약
안지오랩은 복부비만 임상을 하다가 NASH 치료제 개발의 단초를 찾았다. 국가마다 다르지만 통상 복부비만 환자의 30% 이상에서 NASH가 발견된다.
안지오랩은 복부비만 임상에 참가한 사람들의 상복부 컴퓨터단층 촬영(CT)을 통해 지방간이 있는 사람들을 대조군에서 52명, 투약군에서 54명 찾았다. 투약 후 이들 중 지방간이 정상으로 돌아온 환자는 대조군에서 9명(17%), 투약군에서 14명 (26%)이었다. 위약군 대비 진짜약의 치료 효과가 50%가량 더 많은 수준이었다.
지방간 치료 환자 비율이 높은 수치는 아니었지만 안지오랩은 투약 기간에 주목했다. 이 회사가 진행한 복부비만 임상의 투약 기간은 3개월이었다. 6개월 이상으로 투약 기간을 더 늘리면 효능이 더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판단이었다.여기에 부작용 우려가 적다는 점도 긍정적이었다. ALS-1023이 유래한 멜리사 잎은 유럽에서 수천 년간 사용돼 안전성이 어느 정도 검증된 물질이다.
안지오랩은 한양대병원 외 3개 병원을 대상으로 NASH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다. 지방간 환자 60명이 대상이다. 20명씩 위약군, 1200㎎ 투약군, 1800㎎ 투약군으로 나눠 6개월간 1일 2회씩 투약한다. 자기공명영상(MRI)으로 간지방량 감소 정도를, 자기공명탄성(MRE) 검사로 간섬유화 개선 정도를 확인해 유효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이달 말 해당 임상의 마지막 환자 투약이 이뤄질 예정”이라며 “오는 8~9월이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안지오랩은 기술이전에도 나설 예정이다.지방간 감소, 염증·섬유화 억제를 동시에
안지오랩은 ALS-1023이 다중 표적을 대상으로 해 지방간 개선, 염증 억제, 섬유화 억제라는 3가지 효과를 동시에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방간 개선은 이 약물의 당초 개발 의도였던 혈관신생억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다. 김 대표는 혈관신생을 막아 내장지방이 축적되는 걸 막으면 복부비만과 NASH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복부비만의 원인인 내장지방은 우리 몸의 장기를 둘러싸고 있다. 이 내장지방이 과잉 축적되면 내장지방에서 지방산이 떨어져 나와 간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렇게 유입된 지방(유리 지방산)은 간세포 안에서 중성지방(TG) 형태로 쌓여 지방간이 된다.안지오랩은 동물실험을 통해 ALS-1023이 혈관신생인자인 VEGF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복부비만 임상 2상에선 1일 2회 1200㎎ 투여군에서 내장지방 면적 감소율이 15.2%로 대조군 6.7% 대비 2배 이상 높았다.
NASH 염증 억제 효과는 염증을 유도하는 산화질소(NO) 생성과 인터루킨-6(IL-6) 발현을 억제해 확보한다. IL-6은 면역세포에서 생성되는 신호전달물질인 사이토카인의 일종이다. 면역반응을 촉진해 염증을 일으킨다. ALS-1023은 MMP-2, MMP-9 등의 단백질 발현을 저해해 섬유화 억제 효과도 낼 수 있다. MMP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다. 과다 발현하면 섬유질 매트릭스를 구성해 간 세포를 딱딱하게 만든다.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것 자체도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염증이 진행된 간세포에선 저산소증으로 인해 저산소증유도인자(HIF)가 생성된다. 이 HIF는 혈관신생인자의 발현을 유도해 섬유아세포의 섬유화를 촉진한다. 이때 혈관신생인자의 발현을 막으면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혈관신생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
안지오랩은 습성황반변성 치료에도 도전하고 있다. 습성황반변성은 맥락막에 있는 혈관이 망막으로 침투해 발병한다. 이 회사는 ALS-1023의 하위 파이프라인인 ‘AL101- AMD’로 습성황반변성 대상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VEGF 발현을 막아 혈관신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활성산소를 줄여 망막색소 상피세포를 보호해 치료 효과를 낸다. 1년간 경구제인 AL101-AMD와 주사제 인 루센티스를 병용투여한 뒤 치료 효과를 확인할 예정이다.
삼출성 중이염 치료제도 개발 중이다. 삼출성 중이염은 염증이 발생한 귀에서 진물(삼출액)이 나오는 질환이다. 김 대표는 “삼출성 중이염 환자들의 삼출액에선 VEGF와 MMP가 다량 확인되는데 이 인자들을 억제하면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삼출성 중이염 동물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확인해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안지오랩은 올 하반기 중 NASH 임상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면 기술성 평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벤처캐피털리스트 분석>
혈관신생에 특화된 바이오 벤처 by 김태희 신한벤처투자 이사
혈관신생 억제 기전을 이용해 경구용 습성황반변성, NASH, 삼출성중이염 및 치주질환을 표적으로 여러 치료제의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자체 보유한 인간 미니항체 라이브러리에서 항체의약품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등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도 빠른 성과를 내고 있다.이주현 기자
*이 기사는 <한경바이오인사이트> 매거진 2021년 5월호에 실렸습니다.
이 회사의 대표 신약 후보물질은 멜리사 잎에서 유래한 천연물로 만든 ‘ALS-1023’이다. 이 후보물질로 가장 개발 속도가 빠른 파이프라인은 복부비만을 대상으로 한 ‘AL101-AOB’로 임상 2b상을 이미 마쳤다.5월 말 임상 2a상 마지막 환자 투약
안지오랩은 복부비만 임상을 하다가 NASH 치료제 개발의 단초를 찾았다. 국가마다 다르지만 통상 복부비만 환자의 30% 이상에서 NASH가 발견된다.
안지오랩은 복부비만 임상에 참가한 사람들의 상복부 컴퓨터단층 촬영(CT)을 통해 지방간이 있는 사람들을 대조군에서 52명, 투약군에서 54명 찾았다. 투약 후 이들 중 지방간이 정상으로 돌아온 환자는 대조군에서 9명(17%), 투약군에서 14명 (26%)이었다. 위약군 대비 진짜약의 치료 효과가 50%가량 더 많은 수준이었다.
지방간 치료 환자 비율이 높은 수치는 아니었지만 안지오랩은 투약 기간에 주목했다. 이 회사가 진행한 복부비만 임상의 투약 기간은 3개월이었다. 6개월 이상으로 투약 기간을 더 늘리면 효능이 더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판단이었다.여기에 부작용 우려가 적다는 점도 긍정적이었다. ALS-1023이 유래한 멜리사 잎은 유럽에서 수천 년간 사용돼 안전성이 어느 정도 검증된 물질이다.
안지오랩은 한양대병원 외 3개 병원을 대상으로 NASH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다. 지방간 환자 60명이 대상이다. 20명씩 위약군, 1200㎎ 투약군, 1800㎎ 투약군으로 나눠 6개월간 1일 2회씩 투약한다. 자기공명영상(MRI)으로 간지방량 감소 정도를, 자기공명탄성(MRE) 검사로 간섬유화 개선 정도를 확인해 유효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이달 말 해당 임상의 마지막 환자 투약이 이뤄질 예정”이라며 “오는 8~9월이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안지오랩은 기술이전에도 나설 예정이다.지방간 감소, 염증·섬유화 억제를 동시에
안지오랩은 ALS-1023이 다중 표적을 대상으로 해 지방간 개선, 염증 억제, 섬유화 억제라는 3가지 효과를 동시에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방간 개선은 이 약물의 당초 개발 의도였던 혈관신생억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다. 김 대표는 혈관신생을 막아 내장지방이 축적되는 걸 막으면 복부비만과 NASH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복부비만의 원인인 내장지방은 우리 몸의 장기를 둘러싸고 있다. 이 내장지방이 과잉 축적되면 내장지방에서 지방산이 떨어져 나와 간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렇게 유입된 지방(유리 지방산)은 간세포 안에서 중성지방(TG) 형태로 쌓여 지방간이 된다.안지오랩은 동물실험을 통해 ALS-1023이 혈관신생인자인 VEGF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복부비만 임상 2상에선 1일 2회 1200㎎ 투여군에서 내장지방 면적 감소율이 15.2%로 대조군 6.7% 대비 2배 이상 높았다.
NASH 염증 억제 효과는 염증을 유도하는 산화질소(NO) 생성과 인터루킨-6(IL-6) 발현을 억제해 확보한다. IL-6은 면역세포에서 생성되는 신호전달물질인 사이토카인의 일종이다. 면역반응을 촉진해 염증을 일으킨다. ALS-1023은 MMP-2, MMP-9 등의 단백질 발현을 저해해 섬유화 억제 효과도 낼 수 있다. MMP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다. 과다 발현하면 섬유질 매트릭스를 구성해 간 세포를 딱딱하게 만든다.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것 자체도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염증이 진행된 간세포에선 저산소증으로 인해 저산소증유도인자(HIF)가 생성된다. 이 HIF는 혈관신생인자의 발현을 유도해 섬유아세포의 섬유화를 촉진한다. 이때 혈관신생인자의 발현을 막으면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혈관신생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
안지오랩은 습성황반변성 치료에도 도전하고 있다. 습성황반변성은 맥락막에 있는 혈관이 망막으로 침투해 발병한다. 이 회사는 ALS-1023의 하위 파이프라인인 ‘AL101- AMD’로 습성황반변성 대상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VEGF 발현을 막아 혈관신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활성산소를 줄여 망막색소 상피세포를 보호해 치료 효과를 낸다. 1년간 경구제인 AL101-AMD와 주사제 인 루센티스를 병용투여한 뒤 치료 효과를 확인할 예정이다.
삼출성 중이염 치료제도 개발 중이다. 삼출성 중이염은 염증이 발생한 귀에서 진물(삼출액)이 나오는 질환이다. 김 대표는 “삼출성 중이염 환자들의 삼출액에선 VEGF와 MMP가 다량 확인되는데 이 인자들을 억제하면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삼출성 중이염 동물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확인해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안지오랩은 올 하반기 중 NASH 임상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면 기술성 평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벤처캐피털리스트 분석>
혈관신생에 특화된 바이오 벤처 by 김태희 신한벤처투자 이사
혈관신생 억제 기전을 이용해 경구용 습성황반변성, NASH, 삼출성중이염 및 치주질환을 표적으로 여러 치료제의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자체 보유한 인간 미니항체 라이브러리에서 항체의약품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등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도 빠른 성과를 내고 있다.이주현 기자
*이 기사는 <한경바이오인사이트> 매거진 2021년 5월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