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 50년 앞둔 대덕특구, '첨단산업 메카'로 리모델링
입력
수정
지면A28
2023년 단지 건설 50주년1973년 1월 17일, 최형섭 과학기술처 장관은 박정희 대통령의 연두 순시 때 서울 홍릉연구단지를 넘어서는 제2의 국가 연구단지 건설 최종계획을 보고했다. ‘선박, 기계, 석유화학, 전자 등의 전략산업 기술 연구기관을 단계적으로 설립해야 한다’는 것과 ‘서울에 산재한 국·공립 연구기관을 한 곳에 집결시켜 연구 기능을 극대화시켜야 한다’는 게 주요 보고 내용이었다.
연구·창업·산업·인프라 등
4대 분야 투자 청사진 제시
대전 "앞으로 50년 우리가 주도
국가성장 선도 모델 만들 것"
박 대통령은 몇 차례 수정을 거쳐 같은 해 5월 최종계획에 서명했다. 이어 11월에는 건설부가 대전의 대덕 일원을 교육 및 연구지구로 결정한다는 내용을 고시했다. 50여 년 가까이 대한민국 경제성장을 이끈 대덕특구(옛 대덕연구단지)는 이렇게 탄생했다.대전시와 대덕특구를 관리·운영하는 정부기관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오는 2023년 조성 50주년을 맞는 대덕특구를 대대적으로 재창조한다고 12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시와 특구진흥재단은 △연구·인재 △사업화·창업 △기업·산업 △도시·인프라 등의 4대 분야, 8대 실행계획을 골자로 한 대덕특구 재창조 청사진을 마련했다. 이를 추진할 ‘대덕특구글로벌혁신추진위원회’도 조만간 구성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2023년까지 세부계획과 예산안 등을 마련하고 집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대덕특구는 그동안 한국이 대외 원조 수혜국에서 지원 국가로, 가내 수공업 체제에서 중화학공업을 거쳐 지식경제 기반사회로 발전하는 데 주춧돌을 놓았다”고 말했다.대덕특구는 그동안 탁월한 연구 성과와 기술 사업화를 통해 국가 경제성장에 기여해 왔다. 대덕특구에는 1978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이 첫 입주한 이후 2019년 말 기준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연구기관 45개, 기업 1971개 등 2074개의 연구 관련 시설과 기업이 자리잡고 있다.
입주 기업의 매출은 총 18조4486억원, 연구원 및 기업 근로자 인력은 7만8000여 명에 달한다. 50여 년 동안 국내 특허등록 7만여 건, 해외 특허등록 2만7000여 건의 성과도 냈다. 대덕특구 내 코스닥시장 상장사는 48개, 연구소기업은 331개다. 특구진흥재단 관계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원자력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원에서 세계적인 원천기술을 통해 300조원이 넘는 경제유발 효과도 창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노벨상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자조적인 비판도 일각에선 나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디지털 전환 시대를 선도해 가기에는 혁신 생태계와 공간적인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연구원들의 시장지향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데이터의 생산·관리·활용 미흡, 기업 입주공간 부족과 창업 생태계 미성숙 등도 앞으로 대덕특구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덕특구가 지난 50년간 국가 중심으로 운영돼 왔다면 앞으로 50년은 대전이 주도하는 국가 성장 선도 모델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