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5000명 대선조직' 띄운 이재명 "경선연기 반대"

서울서 대대적 勢과시
전국조직 '민주평화광장' 출범
이해찬계 등 의원 30여명 참석
"경선 원칙대로 해야 합리적"

부동산 세제 전면개편 주장
"개인 양도세 법인보다 불리
가난하면 세금 더 적게 내야"
< 닻 올린 이재명 지지 모임 > 이재명 경기지사(앞줄 왼쪽 세 번째)와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12일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에서 열린 민주평화광장 출범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병언 기자
여권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서울에서 연달아 일정을 소화하며 지지세력 규합에 나섰다. 12일 발족한 이재명 지지조직 ‘민주평화광장’에는 이해찬계 등 이전까지 이 지사와 연이 없었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까지 대거 합세하면서 ‘이재명 대세론’을 증명했다. 이 지사는 부동산 정책과 대통령선거 경선 연기론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이전보다 선명한 의견을 내면서 대권 레이스를 향한 몸풀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지지세력 규합 나선 이재명

이 지사는 이날 서울 상암동 미디어대학원대학교 상암연구센터 소극장에서 열린 민주평화광장 출범식에 참석했다. 민주평화광장은 발기인만 1만5000여 명에 달하는 거대 조직으로, 이날 출범식에는 현직 의원 30명이 참석했다. 이 지사는 출범식 축사에서 “민주평화광장을 통해 만난 이들과 앞으로 먼 길을 함께 손잡고 걸어갈 것”이라고 말했다.이 지사는 이날 서울에서만 두 개의 일정을 소화하며 본격적인 지지세 규합에 나섰다. 앞서 그는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비주거용 부동산 공평과세 실현’ 정책 토론회에 참석했다. 경기도가 주최한 이 토론회에도 32명의 현역 의원이 공동 주최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전까지 이 지사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당내 지지세력이 오히려 강점으로 변한 모습이다. 민주평화광장은 과거 이해찬 전 민주당 대표의 싱크탱크인 ‘광장’을 기반으로 한 조직으로, 이날 출범식에도 이해찬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대거 합류했다. 이해찬계 좌장으로 꼽히는 5선의 조정식 의원은 민주평화광장 공동대표를 맡았다. 그 밖에도 김성환, 이해식, 이형석, 장경태 등 이해찬계 의원이 대거 참석했다.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한 이해찬계 의원은 “개인적인 인연보다는 경선을 흥행시키고, 대선에서 이길 수 있는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는 게 이 전 대표의 생각”이라며 “이에 따라 당내 가장 강력한 후보인 이 지사에게 힘을 집중시켜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망론은 민주당이 4·7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이후 힘을 얻고 있다. 민주당 서울시당은 선거 패배 이후 서울 유권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보고서를 최근 의원들에게 배포했다. 이 보고서는 “이재명 지사가 문재인 대통령과 각을 세우면 민주당에서 이탈한 지지층을 흡수할 수 있다”며 이 지사를 중심으로 결집할 것을 주장했다.

○부동산 이슈로 표심 공략

‘대세론’을 등에 업은 이 지사는 유권자들의 관심이 큰 부동산 이슈를 중심으로 표심 공략에 나섰다. 이날 토론회에서 이 지사는 “아파트 등 서민 다수가 사는 건축물은 공시지가가 현실화돼 있는데 경기도 자체 조사에 따르면 비싼 건물일수록 현실화율이 낮다”며 “개인과 달리 법인은 부동산을 구매하는 데 드는 각종 비용을 양도소득세에서 공제해주는데 세율도 낮은 이상한 구조”라고 지적했다. 비주거용 부동산을 포함해 부동산 조세제도를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지사는 “부동산 조세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더 적게 부여되는 방식으로 실질적 형평성이 보장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당내 이슈·다른 후보자도 직접 공격

민주당 대선 경선을 연기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이전보다 선명한 입장을 내놓았다. 이 지사는 기자들을 만나 경선 연기론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원칙대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원만하고 합리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전까지 이 지사는 경선 연기론에 대한 대답을 회피하거나 “지도부 의견을 따르겠다”고 밝혀 왔다.

다른 후보에 대한 언급이나 답변을 피하던 모습도 달라졌다. 이 지사는 전 국민에게 만 20세 생일에 1억원을 지급하자는 정세균 전 총리의 공약에 대해 “경제 선순환에 도움이 되고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소비 확대 정책이 좋지 않겠나”고 지적했다. 한 번에 1억원을 주자는 정 전 총리의 ‘기본자산’ 공약보다 정기적인 수당을 지급해 소비 활성화를 유도하자는 자신의 ‘기본소득’ 공약이 우위에 있다는 주장이다.

전범진/오형주 기자 forwar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