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구 4곳 '공공개발' 후보지 선정…1만가구 공급
입력
수정
지면A27
도심복합사업 3차 후보지 선정부산과 대구의 노후 저층주거지 4곳이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을 통해 1만 가구 규모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 은평구 증산4구역은 선도사업 후보지 중 처음으로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한 주민동의 요건을 확보했다.
LH 등 공공기관 주도로 개발
증산4구역은 주민동의 첫 확보
‘2·4 부동산 대책’에서 도입된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은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단지를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기관 주도로 개발하는 것이다.
대구에서는 △남구 봉덕동 미군부대 캠프조지 인근 △달서구 감삼동 대구 신청사 인근이, 부산 부산진구에선 △옛 전포3구역 △옛 당감4구역이 후보지에 포함됐다. 이들 지역에서 공급이 가능한 주택은 총 1만543가구에 달할 것으로 국토부는 추정했다.
부산 전포3구역에는 도심형 주거공간과 함께 문화·상업·생활 SOC가 갖춰진다. 당감4구역에는 1241가구의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다. 국토부는 3차 후보지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자체 개발보다 용적률이 평균 65%포인트 올라가고, 공급 규모는 구역별로 평균 727가구(38.1%)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했다.1차 후보지에 포함됐던 서울 은평구 증산4구역은 후보지 가운데 처음으로 주민 3분의 2 동의를 확보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뉴타운 해제 지역인 증산4구역은 증산역세권과 가깝다. 인근에 초등학교와 중학교 등이 있어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지 16만6022㎡에 4139가구가 들어서게 된다.
이 사업은 소유주 10% 동의를 확보하면 예정지구로 지정되고 1년 안에 3분의 2 동의를 확보(면적 기준 2분의 1)해야 지구 지정을 거쳐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국토부는 앞서 3월 말과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서울 내 총 34곳의 도심공공주택복합개발사업 후보지를 발표했다. 3차 후보지 발표로 도심공공주택복합개발사업 후보지는 전국 38곳으로 늘어나게 됐다. 공급 예상 주택은 총 4만8700가구다.
1, 2차 후보지 중 11곳은 동의 절차에 착수했다. 예정지구 지정 요건인 10% 동의를 확보한 곳은 △도봉구 쌍문역 동측 △쌍문1동 덕성여대 인근 △영등포구 신길15구역 △은평구 불광근린공원 인근 △수색14구역이다. 김수상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의 호응이 커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