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청년들, AI교육서도 소외…미래에 부의 격차 커질 수도"
입력
수정
지면A8
김승일 모두의연구소 대표“지역 간 인공지능(AI) 교육 격차 해소는 단순히 교육기관과 기업의 협력만으론 어렵습니다. 지역을 제일 잘 아는 지방자치단체가 나서 일종의 ‘삼각편대’를 이뤄야만 합니다.”
김승일 모두의연구소 대표는 13일 열린 AI미래포럼 제2차 웨비나에서 “지방 청년들이 AI 교육에서도 사회적 소외를 겪고 있다”며 “하나의 지역 내에서 학생과 기업을 연결할 수 있는 AI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 교육기관과 지역 기업의 협력만을 기대하기보다 정보를 가장 잘 아는 각각의 지자체가 이들을 유기적으로 이을 수 있는 ‘중매쟁이’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교육 인프라 수도권 편중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김 대표는 이 중에서도 AI 교육 편차가 심각하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교육정보플랫폼 온오프믹스의 AI 교육 개설 강의 수를 분석했더니, 62개의 교육과정 중 49개가 서울에 쏠려 있었다”며 “우리나라 인구 5000만 명 중 20%만이 사는 서울에 80%의 과정이 몰린 셈”이라고 했다. 강원, 대구·경북, 제주 지역이 모두 0건인 것과는 큰 격차다.
김 대표는 지역 간 교육 괴리가 장기적으로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 출생자들의 심각한 자산 격차를 부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산업혁명의 시기마다 기술을 잘 활용하는 사람에게 부가 몰려왔다”며 “AI 기술의 파급력과 기업들의 연봉 상승 추세를 보면 향후 더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지역 기업과 지방 인재들의 화학적 결합은 해법으로 꼽혔다. 교육기관과 지역 기업이 나서서 ‘실전 프로젝트’를 청년들에게 주자는 것이다. 김 대표는 “지방 기업들은 데이터 지식도 풍부하고 AI로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도 인식하고 있다”며 “부족한 인력이 문제라면 학생들에게 프로젝트형 교육과정을 부여하고 자기주도 학습을 시킨 뒤 채용까지 연계하는 모델이 바람직하다”고 했다.AI 교육 과정 자체에 대한 성토도 이어졌다. 수학과 컴퓨터공학 등 AI 기술의 ‘기본기’가 밀려나고, 결과물만 급조하려는 교육이 횡행한다는 지적이다. 김재원 엘리스 대표는 “최근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수학 비중이 줄고 있고, 컴퓨터공학이 강조되는 듯하지만 기초 과정은 부족하다”며 “열매만을 취하려는 교육을 줄이고, 커리큘럼의 범위를 늘려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일선 현장에 있는 개발자들을 교육 현장에 참여시키는 방안을 제도적으로 논의하는 등 올바른 정책 방향의 병행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