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완 칼럼] '일'이 달라진다, 교육도 변해야 한다
입력
수정
지면A35
코로나 이후 비대면 가속화매일 오전 사설 주제와 필자를 정하는 논설위원실 회의는 화상으로 진행된다. 부분적으로 재택근무를 하기 때문이다. 코로나 이전에도 가능했지만 시도해 본 적이 없다. 그럴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IT전문직에선 일자리 병목
교육제도 경직성부터 풀어야
박성완 논설위원
코로나가 많은 것을 바꿔놨다. 많은 회사가 현장 근무가 필수적인 곳을 빼곤 재택근무를 병행한다. 집단면역이 생기고 생활이 정상화돼도 근무 형태가 예전 같진 않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출장은 줄고, 전시회 포럼 등 행사도 온·오프라인 병행이 필수가 될 것이다. 온라인 쇼핑도 코로나 시기의 ‘강제 경험’ 때문에 급속히 확산됐다. 지난해 국내 온라인 쇼핑은 20% 가까이 늘었고, 전체 소매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0%를 넘었다.이 같은 변화는 ‘일자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글로벌 컨설팅회사 맥킨지는 코로나 이후 원격근로와 전자상거래, 자동화가 가속화하면서 2030년까지 미국 등 주요 8개국에서 1억 명 이상의 근로자가 직업을 바꿔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선진국의 경우 코로나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25%가량 규모가 늘었다. 특히 저임금 일자리는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어떤 기술이나 능력이 필요한 고임금 일자리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일자리 변화는 이미 나타나고 있다. 대면 업무와 관련 서비스직이 급감하고 있다. 은행은 요즘 거의 모든 업무가 모바일 앱으로 가능하다. 지점을 통폐합하고 인력을 계속 줄여야 할 판이다. 자동차 회사들은 중심이 전기차로 옮겨가면서 생산에 필요한 인력이 줄고 있다. 전기차 부품 수는 내연기관차의 30~50%밖에 안 된다. 생산시간과 투입되는 인력이 훨씬 적다. 물류는 로봇이 투입되고, 마트 계산대도 빠르게 무인화되고 있다. 얼마 전 2030세대의 83%가 미래 일자리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온 것도 이런 변화가 투영된 결과다.
반면 새로운 일자리도 생겨나고 있다. 프로그램 개발자나 데이터과학자 등 정보기술(IT) 인력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이다. 제조 금융 유통사 불문하고 그렇다. 내년에만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IT 전문 분야에서 1만5000명가량이 부족할 것이란 관측이다. IT 인력 몸값이 치솟다보니, 연공서열식 연봉제가 남아 있는 은행 등에선 뽑고 싶어도 못 뽑는 경우가 생긴다. 반도체 기술 인력도 만성적인 부족 상태다.인력 수요가 변하면 이에 따라 교육도 달라져야 한다. 사회가 필요로 하는 재능과 기술은 과거와 달라졌다. 그런데 한국 교육은 규제와 제도의 경직성 때문에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당장 천편일률적인 커리큘럼의 대학이 너무 많다. 학령인구가 급감하는 마당에 서울이든 지방이든 경쟁력 없는 대학은 살아남기 힘들다. 대학이 자율적으로 학과나 정원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정부는 최근 ‘K반도체 전략’의 하나로 향후 10년간 3만6000명의 반도체 인력을 양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것도 대학정원 규제를 풀지 않으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학과 기업이 취업이나 직업전환 연계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교육뿐 아니라 고용정책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초·중·고교 교육도 보다 자율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바꿔야 한다. 요즘 아이들의 꿈은 더 이상 판·검사나 의사가 아니다. 프로게이머를 꿈꾸고, 유튜버나 웹툰 작가처럼 지식재산권(IP)으로 돈 버는 데도 관심이 많다. AI가 대체 못 할 새 직업들이 생기고, 업무 형태도 다양해질 것이다. 화상회의 정도가 아니라 자신의 아바타가 가상공간 사무실로 출근해 일하게 될지도 모른다. 언어 장벽이 없으면 해외에 있는 회사라도 물리적 거리는 문제가 안 된다. 일할 기회의 문은 오히려 넓어질 수 있다. 준비만 돼 있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