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고객 잡자"…Z세대 유치 전쟁, 문턱 낮추는 은행들
입력
수정
국민銀, '리브' 앱 Z세대 전용 플랫폼으로 탈바꿈은행권이 미래의 소비 주력 세대인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후반 출생 세대) 유치 전쟁에 나섰다. 당장은 아니어도 오래지 않아 밀레니얼 세대를 제치고 핵심 고객층으로 부상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금융이 급물살을 타면서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Z세대의 '트렌드세터'로서의 영향력이 더 커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뭉뚱그려 'MZ세대'를 공략했던 은행들은 이제 10대 중심의 Z세대에 맞는 플랫폼을 내놓는 데 집중하고 있다.
10대 전용 '카뱅 미니'에는 청소년 3분의1 가입
신한銀 '카트라이더 리그' 스폰서 등 게임 마케팅
밀레니얼 제치고 영향력 커지는 Z세대 집중공략
17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기존 간편 뱅킹 애플리케이션 ‘리브(Liiv)’를 Z세대 전용 앱으로 개편하는 작업에 이달 착수했다. 핵심 타깃 고객층은 10대에서 20대 초반에 이르는 젊은 세대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주민등록증이 없는 10대 학생들은 비대면 계좌개설은 물론 비대면 실명 확인이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이런 불편한 점들을 해결하고 금융에 대한 관심이 많은 Z세대가 다양한 금융 경험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안에 출범하는 게 목표다.
하나은행도 Z세대에 특화한 플랫폼을 올 상반기 안에 출시할 계획이다. 자녀가 부모와 함께 투자, 기부, 송금 등 다양한 금융 경험을 해보고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젊은 층을 겨냥한 플랫폼 개발에 드라이브를 걸어왔다.
“Z세대, 밀레니얼과는 완전히 다른 세대”
이제까지 Z세대는 금융권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소득과 자산이 적거나 아예 없는 만큼 은행 입장에서는 주력 고객층이 아니었다. 이미 직장생활을 시작한 20대 중후반~30대의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1990년대 중반 출생 세대)와 묶어 'MZ세대' 마케팅이 활성화하긴 했지만 대부분은 소득이 있는 사회초년생이나 새내기 대학생까지가 마지노선처럼 여겨졌다. 국민은행이 지난해 'MZ세대 전용'으로 출시한 'KB마이핏 통장·적금'(만 18~38세 대상)이나 우리은행의 '스무살우리적금'(만 18~30세), 신한은행의 '헤이영' 브랜드(만 18~29세) 등이 대표적이다.하지만 지난해를 기점으로 Z세대를 독립된 미래 주력 고객층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인식이 금융권에서도 확고해졌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경제가 더 빠르게 활성화하면서 틱톡, 유튜브 등을 활용한 소비 트렌드를 Z세대가 이끌고 있다는 점도 작용했다. 국제금융센터는 보고서에서 "현재 Z세대의 직접적인 구매력은 크지 않지만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정보력으로 가정 내 소비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은행들도 이 세대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Z세대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발달과 함께 성장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다. 그러면서도 경제 발전기에 성장한 밀레니얼 세대와 달리 성장기에 금융위기를 겪어 경제적 성향에서도 이전 세대와 차이를 보인다. 골드만삭스는 Z세대가 경제적 안정성에 관심이 많으면서도 계획적 소비보다 즐거움을 위한 소비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심윤보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 환경에 익숙한 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디지털 친화적이고 기존 은행권보다 핀테크 등 신규 사업자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국민은행의 고위관계자는 “Z세대는 기존 밀레니얼 세대와는 또 완전히 다른 세대”라며 “MZ세대를 아우르는 플랫폼으로는 기존 고객이 아닌 Z세대를 위한 서비스를 제대로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청소년 전용 ‘카뱅 미니’에 79만명 가입
Z세대 공략에 나선 은행권의 또 다른 주력 카드는 '게임 마케팅'이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2월부터 넥슨과 손잡고 금융과 게임을 융합한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에 나섰다. 신한은행은 10대를 주 이용층으로 보유한 넥슨의 '카트라이더 리그'에 금융권 최초로 스폰서로 참여하기도 했다.신한은행의 모바일 플랫폼인 '쏠'과 카트라이더의 모바일 버전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를 연계해 게임 아이템이 담긴 쿠폰을 제공하는 마케팅도 펼쳤다. 은행 관계자는 "10대에게 친숙한 콘텐츠를 통해 은행에 대한 신뢰도와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는 10대 고객만 겨냥한 선불전자지급수단 ‘카카오뱅크 미니’로 Z세대 전용 금융 서비스의 성공 가능성을 이미 보여줬다.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10월 만 14~18세 청소년 전용으로 선보인 이 서비스는 현재 가입자 수가 79만 명에 이른다. 출시 약 7개월 만에 청소년 인구(233만명) 3명 중 1명이 가입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사와의 거래가 사실상 처음인 10대 청소년들을 카뱅의 충성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라며 “이들은 주로 편의점, 카카오톡선물하기 등에서 카뱅 미니를 사용하는데 향후 신용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축적에도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