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미 공동성명에 '중국에 강경 입장' 담길 원하지만 한국이 꺼려"
입력
수정
파이낸셜타임스 보도, 소식통 인용해 보도
백악관, "쿼드 멤버십 변화, 예상할 것 없어"
"한국은 미국에 대단히 중요한 파트너"

FT는 한국이 미국과 안보 동맹이지만 중국에 대항하는걸 거부해왔다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중국 화웨이 장비 사용중단 요구를 거부한 것을 사례로 꼽았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52년만에 대만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했다. 미·일이 중국이 민감해하는 대만 문제를 건드린 것이다.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도 대만 문제를 비롯해 중국과 관련한 민주주의 진영의 우려를 담길 원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FT 보도가 맞다면 한국과 미국이 이 문제를 두고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또 "한국은 미국에 대단히 중요한 파트너"라며 미국이 다양한 국가와 협력하는 다양한 형식이 있으며 한국, 일본과 협력할 수 있고 3국간 협력도 있다고 말했다. 한국이 쿼드에 전면적으로 참여하는 걸 부담스러워하는 상황을 반여해 한·미 협력과 한·미·일 협력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문제에 대해선 ""물론 내일 논의의 중심 주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두 정상은)기후, 경제적 동반자 관계도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 가능성에 대해선 "그 것이 그(바이든)의 의제에서 최고가 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