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데없이 '부동산 훈수' 시작한 추미애, 대권도전 준비? [정치TMI]

장관 퇴임 후 더 활발해진 SNS 활동으로 눈길
"지지율이 관건, 현재는 본인도 출마여부 모를 것"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점심식사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지지자들이 보낸 응원 꽃다발이 가득하다. 사진=뉴스1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 절차를 마무리한 후 자연인으로 돌아간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대선을 앞두고 다시 활발한 SNS 활동을 재개했다. 특히 추 전 장관은 자신의 전문 분야가 아님에도 연일 부동산 문제와 관련해 목소리를 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추 전 장관은 21일에도 SNS를 통해 "주거차별 없는 세상, 만들 수 있다"며 "국가는 누구에게나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주거기본권을 보장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 4주년 특별연설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문제만큼은 정부가 할 말이 없는 상황"이라며 사실상 정책 실패를 인정했다.

문재인 정부의 가장 큰 약점인 부동산 문제에 목소리를 내면서 차별화하려는 전략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추 전 장관이 차기 대권 출마를 염두에 두고 '존재감 키우기'에 나섰다는 것이다. 추 전 장관은 정치에 복귀하겠다는 생각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법무부 장관까지 지냈기 때문에 정치 복귀를 위한 선택지가 많지 않다.

이미 5선을 지낸 만큼 다음 총선에 출마해 6선이 된 후 국회의장이 되는 방법도 거론되지만 기존 지역구는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고 급을 낮춰 지역구였던 광진구에 구청장 등으로 출마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추 전 장관의 대권 도전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신율 교수는 "법무부 장관을 지냈는데 검찰개혁 뿐만 아니라 민생, 부동산 등 다방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며 "장관직을 끝내고 잠시 쉴 수도 있는 타이밍인데 또 스스로 이슈 전면에 서려 하고 있다. 대선에 나가려는 포석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현재 지지율이 낮은 추 전 장관이 뒤늦게 대선 레이스에 합류해 기존 3강(이재명 경기도지사, 이낙연 민주당 의원, 정세균 전 국무총리)과 경쟁하는 것이 가능하겠느냐는 질문에는 "현재 친문(친문재인) 진영에 마땅한 후보가 없다. 그런 틈을 파고들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장성철 공감과 논쟁 정책센터 소장도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둔 행동으로 보여진다"며 "강성 친문 지지층을 모으면 내부 경선에서는 승리할 수 있다는 계산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장성철 소장은 "추미애 전 장관은 어떤 방식으로든 정치에 복귀하려 할 것"이라며 "대선 출마가 아니라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에 출마할 수도 있다. 당내 경선을 위해 앞으로 강성 지지층 겨냥한 발언을 쏟아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정치평론가인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대선 정국이 시작됐는데 무관 상태인 추미애 전 장관이 뒷전에 물러나 있으면 대중에게서 잊혀질 수 있다"며 "본인 나름대로 열심히 이슈 파이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본인의 지지율이 오르면 대선에 출마하고, 그래도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다면 다른 방식의 정치 복귀를 모색할 것"이라고 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권력기관 개혁 관련 언론 브리핑에서 발표를 마친 뒤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진 원장은 "현재로선 본인도 본인이 대선에 출마할지 안 할지 모를 것"이라며 "향후 지지율 추이에 따라 결과가 바뀔 것이다. 지지율 반등을 위해 계속 메시지를 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친문 진영이 추미애 전 장관을 지지하고 나설 가능성에 대해서는 "과거 추 전 장관이 윤석열 찍어내기를 할 때 친문도 동의는 했지만 그 방식이 너무 거칠어서 역풍을 맞았다"며 "이후 친문 진영에서 추 전 장관에 대한 평가가 매우 야박해졌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친문이 추 전 장관을 도울지는 모르겠다"고 했다. 다만 "역시 관건은 지지율일 것"이라며 "지지율이 어느 정도 오른다면 본인이 직접 대선에 출마하지 않더라도 킹메이커 역할을 꿰찰 수도 있다. 추 전 장관이 연일 내는 메시지가 대중에 먹힐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