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북미회담 입장 바뀌나"…외신, 가능성 제기
입력
수정
한미정상회담 결과 잇달아 보도…"중동문제 해결하고 동아시아 집중"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21일(현지시간) 백악관 정상회담 직후 외신은 북한 문제를 포함해 성김 대북특별대표 임명, 백신 제공 등 양 정상의 대화 내용을 실시간 보도했다. 해외 언론은 이번이 지난달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이후 두 번째로 백악관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이라는 점에 주목, 동아시아의 핵심축으로서 한국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양국의 오랜 동맹 관계를 부각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회담 결과를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간 소개하며 스가 총리에 이어 이번 회담은 바이든 행정부 외교정책에서 동아시아가 최우선 순위를 차지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회담을 앞두고 문 대통령이 북미 대화 복원을 설득할 가능성이 거론됐고,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검토를 마친 '실용적' 대북 정책 기조를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 만큼 이 문제를 둘러싼 양 정상의 입장에 시선이 집중됐다. CNN은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력충돌을 종식한 뒤 이번 회담을 통해 중동문제를 뒤로 물리고 외교 정책의 우선 순위를 중국에 대한 견제에 초점을 맞춰 동아시아로 이동시켰다고 평가했다.
이 방송은 회담의 핵심은 무엇보다 대북 정책이었다면서 이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부터 그의 당면한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였다고 덧붙였다.
CNN은 또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후 이제까지 추가적인 외교 노력은 거의 없다시피 전무한 것이나 다름없었다면서 이번 회담에서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새로운 대북정책을 놓고 의견을 교환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CBS는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대북 문제에 있어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수준의 진전이 이뤄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정상 회담을 언급한 자체가 북미 회담에 대한 그의 태도 변화를 시사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로이터는 바이든 대통령이 "북핵 문제에 대한 약속이 있어야 한다"라며 이를 김 위원장과 회담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것을 보도, 이는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그의 생각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앞서 지난 3월 30일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면담 가능성에 대해 "그(바이든)의 접근 방식은 상당히 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그것은 그의 의도가 아니다"라며 사실상 가능성을 부인한 바 있다.
AP통신은 문 대통령은 이번 방문에서 북미 대화 재개를 설득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 왔다면서 바이든 행정부는 그러나 그간 대북 문제에 있어 상대적으로 소극적 입장으로 일관했다고 대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히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에 한국의 참여를 압박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도 수위를 높이는 방안을 촉구하는 데에 회담의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다만 한국이 중요한 무역 상대국이자 대북 정책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중국에 등을 돌리기는 쉽지 않다고 AP는 지적했다. AP는 중국 문제와 관련해 "압박은 없었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도 거론했다.
/연합뉴스
워싱턴포스트는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회담 결과를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간 소개하며 스가 총리에 이어 이번 회담은 바이든 행정부 외교정책에서 동아시아가 최우선 순위를 차지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회담을 앞두고 문 대통령이 북미 대화 복원을 설득할 가능성이 거론됐고,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검토를 마친 '실용적' 대북 정책 기조를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 만큼 이 문제를 둘러싼 양 정상의 입장에 시선이 집중됐다. CNN은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력충돌을 종식한 뒤 이번 회담을 통해 중동문제를 뒤로 물리고 외교 정책의 우선 순위를 중국에 대한 견제에 초점을 맞춰 동아시아로 이동시켰다고 평가했다.
이 방송은 회담의 핵심은 무엇보다 대북 정책이었다면서 이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부터 그의 당면한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였다고 덧붙였다.
CNN은 또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후 이제까지 추가적인 외교 노력은 거의 없다시피 전무한 것이나 다름없었다면서 이번 회담에서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새로운 대북정책을 놓고 의견을 교환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CBS는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대북 문제에 있어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수준의 진전이 이뤄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정상 회담을 언급한 자체가 북미 회담에 대한 그의 태도 변화를 시사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로이터는 바이든 대통령이 "북핵 문제에 대한 약속이 있어야 한다"라며 이를 김 위원장과 회담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것을 보도, 이는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그의 생각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앞서 지난 3월 30일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면담 가능성에 대해 "그(바이든)의 접근 방식은 상당히 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그것은 그의 의도가 아니다"라며 사실상 가능성을 부인한 바 있다.
AP통신은 문 대통령은 이번 방문에서 북미 대화 재개를 설득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 왔다면서 바이든 행정부는 그러나 그간 대북 문제에 있어 상대적으로 소극적 입장으로 일관했다고 대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히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에 한국의 참여를 압박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도 수위를 높이는 방안을 촉구하는 데에 회담의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다만 한국이 중요한 무역 상대국이자 대북 정책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중국에 등을 돌리기는 쉽지 않다고 AP는 지적했다. AP는 중국 문제와 관련해 "압박은 없었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도 거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