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4G 정상회의 개최에 앞서 정부에 민·관·산·학 이해관계자 의견 전달
입력
수정
기업·지방정부·시민사회·국제기구를 대표하는 관계자들이 기후변화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공동선언을 26일 발표했다.
반기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의장과 유영숙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등은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푸른하늘과 2050 순배출 제로 캠페인 라운드 테이블’에서 “우리는 국제사회의 일원이자 기후행동 당사자로서 기후위기 대응이 전 인류 상생과 번영 위한 필수 과제라는 데 인식 함께 한다”며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이를 바탕으로 2050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달성과 실질적 이행을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는 ‘2021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서울 정상회의’에 앞서 공식 부대 행사다.행사에서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분야별 역할 및 달성 전략’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은 “기업의 입장에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이나 첨단기술 확보라는 난관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도 “이미 시작된 탄소중립의 여정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더욱 도전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기업들의 탄소중립 노력에 대해서는 “아직 한국 기업들은 가야할 길이 너무 멀고 준비가 덜 돼 있다”며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낮은 것은 기업들이 힘들다는 말 많이 한 결과”라고도 지적했다.
한국남동발전은 2017년 탄소 총배출량 대비 2030년 45% 감축이라는 공격적인 목표를 기업의 달성 과제로 제시했다. 남동발전의 경우 205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위해서는 96조원 소요된다는 추계 내놓기도 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도입과 산업계의 대응 전략에 대해서도 논의가 오갔다. 나석권 사회적가치연구원 원장은 ESG 평가 지표에 대해 일각에서 ‘공적 정확성과 감독이 부족하다’고 평가한 것을 소개하며 “스스로 공개하는 데이터는 감사를 거치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나 원장은 “사회적 가치 측정의 역사는 30년 넘게 이어졌지만 여전히 개선할 점이 많다”며 “기업들과 연구소가 함께 연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강지호 한국거래소 ESG팀장은 “한국에서 ESG가 확산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책임투자와의 시너지부족, 공개기준 비표준화, 평가체계 미정립 등이 있다”며 “기업이 (ESG 경영을) 체화하며 자연스럽게 시장 전체가 발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ESG 경영이 지향할 점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백대용 소비자시민모임 회장은 “ESG의 주된 목표는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기업이 되는 것”이라며 “두 번째 목표는 소비자의 사랑을 받아 투자자의 투자를 받는 것이라는 방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채택된 공동선언문은 외교부에 전달돼 출범을 앞둔 탄소중립위원회와 P4G 서울선언문에도 반영될 전망이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반기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의장과 유영숙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등은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푸른하늘과 2050 순배출 제로 캠페인 라운드 테이블’에서 “우리는 국제사회의 일원이자 기후행동 당사자로서 기후위기 대응이 전 인류 상생과 번영 위한 필수 과제라는 데 인식 함께 한다”며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이를 바탕으로 2050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달성과 실질적 이행을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는 ‘2021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서울 정상회의’에 앞서 공식 부대 행사다.행사에서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분야별 역할 및 달성 전략’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은 “기업의 입장에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이나 첨단기술 확보라는 난관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도 “이미 시작된 탄소중립의 여정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더욱 도전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기업들의 탄소중립 노력에 대해서는 “아직 한국 기업들은 가야할 길이 너무 멀고 준비가 덜 돼 있다”며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낮은 것은 기업들이 힘들다는 말 많이 한 결과”라고도 지적했다.
한국남동발전은 2017년 탄소 총배출량 대비 2030년 45% 감축이라는 공격적인 목표를 기업의 달성 과제로 제시했다. 남동발전의 경우 205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위해서는 96조원 소요된다는 추계 내놓기도 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도입과 산업계의 대응 전략에 대해서도 논의가 오갔다. 나석권 사회적가치연구원 원장은 ESG 평가 지표에 대해 일각에서 ‘공적 정확성과 감독이 부족하다’고 평가한 것을 소개하며 “스스로 공개하는 데이터는 감사를 거치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나 원장은 “사회적 가치 측정의 역사는 30년 넘게 이어졌지만 여전히 개선할 점이 많다”며 “기업들과 연구소가 함께 연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강지호 한국거래소 ESG팀장은 “한국에서 ESG가 확산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책임투자와의 시너지부족, 공개기준 비표준화, 평가체계 미정립 등이 있다”며 “기업이 (ESG 경영을) 체화하며 자연스럽게 시장 전체가 발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ESG 경영이 지향할 점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백대용 소비자시민모임 회장은 “ESG의 주된 목표는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기업이 되는 것”이라며 “두 번째 목표는 소비자의 사랑을 받아 투자자의 투자를 받는 것이라는 방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채택된 공동선언문은 외교부에 전달돼 출범을 앞둔 탄소중립위원회와 P4G 서울선언문에도 반영될 전망이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