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 "국내는 좁다" 세계 무대서 경쟁…10개국서 ETF 직접 판매도
입력
수정
지면B3
TIGER ETF 시리즈 상장
15년간 순자산 15조로 불어
운용보수 지속적으로 낮춰
투자자 장기 수익률 높여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454699.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464015.1.jpg)
○로봇, AI, 원격의료 테마 ETF 출시
2011년에는 국내 운용사 최초로 홍콩 거래소에 ETF를 상장한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캐나다 호라이즌 ETFs를 인수하며 한국 ETF의 글로벌 진출을 알렸다. 액티브 ETF 강자인 호라이즌 ETFs는 캐나다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89개의 ETF를 상장했다. 총자산 규모는 15조5000억원에 달한다.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2017년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투자하는 세계 최초 ETF인 MIND ETF를 상장했다.2018년엔 세계 ETF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라이징 스타’로 주목받는 ETF 운용사 글로벌X를 인수했다. 글로벌X는 ‘평범한 ETF를 넘어서(Beyond Ordinary ETFs)’란 캐치프레이즈로 차별화된 테마형, 인컴형 상품을 제공한다. 운용 규모는 미국에서만 32조원 수준이다. 특히 기술발전, 인구구조, 인프라 등의 주제로 구분된 다양한 테마형 ETF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지난해 7월에는 글로벌 원격의료 및 디지털 헬스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DOC ETF(Global X Telemedicine & Digital Health ETF)를 선보였다. 글로벌 지수업체 솔랙티브와 지수를 공동 개발한 뒤 상장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HERO ETF(Global X Video Games & Esports UCITS ETF)와 함께 지난해 12월 영국 런던증권거래소에도 상장됐다.
○중국 신성장 테마 ETF도 선점
홍콩 상장 ETF는 중국 신성장 테마 ETF를 중심으로 성장해 3월 말 기준 2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차이나 바이오텍 ETF(Global X China Biotech ETF)와 차이나 클라우드 컴퓨팅 ETF(Global X China Cloud Computing ETF)가 대표적이다. 2019년 7월 말 상장 후 5월 19일 종가 기준 각각 122.82%, 80.27% 수익률을 기록했다. 차이나 전기차&배터리 ETF(Global X China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ETF), 차이나 클린에너지 ETF(Global X China Clean Energy ETF), 차이나 컨슈머 브랜드 ETF(Global X China Consumer Brand ETF)도 상장 이후 각각 101.07%, 78.64%, 37.32% 성과를 올렸다. 지난해 8월에는 차이나 반도체(Global X China Semiconductor) 및 로봇&AI ETF(Global X China Robotics and AI ETF)를 상장하기도 했다.미래에셋은 투자자의 장기 수익률을 높일 수 있도록 시장 대표지수 ETF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수를 인하했다.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TIGER200 ETF의 총보수를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연 0.46%에서 0.05%로 네 번에 걸쳐 인하했다. 2016년 TIGER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의 총보수를 연 0.59%에서 0.09%로, 같은 해 코스닥150 지수 관련 ETF 3종의 총보수도 인하한 바 있다. TIGER코스닥150 ETF는 연 0.30%에서 0.19%로, TIGER코스닥150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는 연 0.59%에서 0.32%로 총보수가 낮아졌다.시장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연금 등 장기 포트폴리오의 자산 배분 수단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낮은 보수가 장기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해외 ETF는 연금자산에 편입할 경우 저율 분리과세 및 과세이연, 세액공제 혜택이 있어 더 유리하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