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백신무기고" 직후 문대통령 '백신파트너십 추진' 결심

백신업계 "백신스와프 대신 백신생산 협력·확대 필요" 의견제시
韓제안→美호응…정상회담 임박해 '글로벌 백신파트너십' 합의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미 백신 글로벌 파트너십'에 합의하기까지 2주간의 긴박한 내부 논의와 한미 간 조율이 있었던 것으로 27일 전해졌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국내에서는 '5∼6월 백신 보릿고개'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충분하고 시의적절한 확보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당장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의 백신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미 백신스와프가 대표적이다. 청와대는 지난 9일부터 비서관들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에 착수했다.

비서관급에서 내린 결론은 '미국의 백신 기술 및 원부자재 공급능력과 한국의 생산능력 결합'이었다.

국내 백신 기업들의 역량에 대한 내부 검토, '장기적으로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해 백신스와프보다 국내 백신 생산능력 확충과 기술이전이 필요하다'는 업계의 의견 등을 종합한 결과다. 이는 수석급 논의를 거쳐 문 대통령에게 보고돼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지난 4월 말 "미국이 다른 나라들을 위한 백신의 무기고가 되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 이후 각급 채널을 통해 재차 확인된 '백신의 무기고'라는 미국 입장이 영향을 미쳤다는 후문이다.

전 세계로부터 백신 확대 압박을 받는 미국 입장에서 한국의 생산능력은 좋은 해결책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 깔렸다. '한미 간 백신 생산 협력을 추진하라'는 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청와대는 지난 11일 미국에 제안서를 보냈고, 미국이 즉각 호응하면서 양측은 일주일 새 3차례 긴급 전화회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간 백신 협력 논의가 본격화하자,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앞둔 지난 17일 "백신 협력을 강화하고 백신 생산의 글로벌 허브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겠다"는 자신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한미 간 회의에서는 미국 측의 문의가 주를 이뤘다는 게 여권 관계자의 설명이다.

'한국이 얼마나 생산할 수 있나', '원부자재 확보는 가능한가', '인도태평양 국가로서 얼마나 기여할 수 있나' 등을 물었다고 한다.

결국 문 대통령이 미국으로 출발하기 하루 전날인 18일 양국은 '백신 협력을 위한 문안의 골격을 마련하자'는 공감대를 형성했고, 정상회담을 목전에 둔 20일 최종 합의에 이르렀다.

두 정상이 22일 새벽 채택한 공동성명에 담긴 '전염병 공동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포괄적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는 문구가 그것이다. 문 대통령의 방미 기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사의 백신 위탁생산 계약이 체결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