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유민, 대한해협 건너 일본국 탄생에 큰 역할…일본 일왕가와 혈연관계 깊어지고 문화발전에 기여
입력
수정
지면S12
역사 산책고당(高唐)전쟁에서 평양성이 함락당하면서 보장왕과 연남산 등의 귀족들과 장군들, 관리들, 기술자들, 예술가들 그리고 군인과 백성 등 3만 명이 묶인 채로 중국의 시안(長安)까지 끌려갔다. 유민들은 요서지방, 산둥반도, 강회 이남(장쑤성·저장성), 산남(내몽골 오르도스), 경서(산시성·간쑤성), 량주(칭하이성과 쓰촨성이 만나는 주변 지역) 등의 불모지에 분산됐다. 신라로 망명해 대당(對唐)전쟁에 합류했던 부류는 신라인이 됐고, 북만주나 동만주 일대 오지로 탈출한 유민들은 거란·선비·말갈 등 방계종족들에 동화되고 말았다. 또 한 무리는 이미 진출해 교류했던 일본열도로 건너갔다.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51) 백제 유민의 디아스포라
한편, 나라를 부활시키는 데 성공한 고구려인들도 있었다. 이정기 일가는 청주, 서주 등 산둥반도와 장쑤성(江蘇省) 일대에 제나라를 세운 후 당나라와 전투를 벌이며 54년 동안 발전했다. 또 만주 일대와 한반도 북부에서 발해가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성장했다.
‘보트피플’ 백제 유민 일본으로 건너가
그럼 백제 유민들은 어떤 운명을 맞이했을까? 660년 8월, 실정과 오만으로 저항 한 번 못한 채 항복한 의자왕과 대신들 그리고 죄없는 병사들 1만2800명은 배에 실려 당(唐)으로 끌려갔다. 의자왕과 왕자들, 일부 대신은 당나라의 벼슬을 받았으나, 복국군의 임금으로 고구려로 망명했던 부여풍은 붙잡혀 영남(廣東·廣西지방)으로 귀양가서 죽었다. 산둥지역에 버려졌던 백성들은 다시 요동으로 이주당했다. 한편 주류성 전투와 백강(백촌강)해전에서 대패한 복국군은 “어찌할 수 없도다. 백제의 이름은 이제 끊어졌고, (조상)묘소에도 갈 수가 없구나…”(《일본서기》)라고 절규하며 음력 9월 25일에 왜(倭)의 병선을 타고 거친 북서풍을 맞으며 대한해협을 건넜다. 뒤따라 백성들과 지방세력도 전라도 해안 등에서 출항해 ‘보트피플’로 떠돌다가 일본열도의 곳곳에 닿았다. 그리고 665년 2월, 400여 명이 오우미(近江) 지역에 분산된 것처럼 여러 곳에서 개척자로 변신했다.한반도 유민이 ‘日 르네상스’에 큰 역할
그들은 절치부심하면서 나당(羅唐) 연합군을 방어할 요충지마다 성을 쌓고, 군비를 증강하는 한편 생존을 모색하는 외교를 했다. 670년에 일본국(日本國)이 탄생했다. 왕실 교체 같은 변란과 격심한 정치혼란이 일어났고, 심지어는 유민세력 간에도 전투가 벌어졌다. 1992년 규슈 중부 산골인 난고(南鄕)촌을 방문, 이곳 오지로 도피했다가 중앙에서 파견한 추격군에 살해당한 백제계 정가왕 부자의 흔적을 찾아본 적이 있는데 슬픈 느낌이 들었다.하지만 대거 들어온 군인·정치인·지식인·기술자 등의 인적자원은 신흥 일본을 경제적·문화적으로 발전시켜 역사상 최대의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백제의 역사와 뒤섞인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등이 출판됐고, 유민들의 족보도 만들어졌다. 또 일본 천황가와 부계·모계로 얽혀 혈연관계는 더욱 강해졌다. 의자왕의 아들인 선광이 거주하는 지역은 ‘구다라군(百濟郡)’으로 명명됐다. 2002년 월드컵 때 아키히토(明仁) 일왕이 “칸무(桓武)천황의 어머니는 무령왕의 자손”이라고 말한 것은 이 때문이다. 유민들의 행적과 백제계 출신이 주도한 도다이지(東大寺)나 호류지(法隆寺) 같은 대사찰, 대규모의 방어체제, ‘백제왕 신사’ 등 수많은 유적과 유물들은 우리가 상실했던 백제역사를 복원해 준다(윤명철,《동아지중해와 고대일본》, 1996).잊혀진 고구려·백제 유민의 삶
만주, 몽골은 물론이고 산둥지역, 시안과 간쑤성(甘肅省) 일대, 신장성(新疆省)의 사막, 중앙아시아 실크로드와 파미르 고원, 티베트와 칭하이성 및 쓰촨성(四川省) 일대 또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와 하바로프스크 지역 그리고 일본의 에도, 규슈, 오사카와 서쪽 해안의 도시들, 심지어는 윈난성(雲南省)과 동남아시아 북부의 산족 마을에도 고구려·백제의 최후와 유민들의 깊은 한이 배어 있다(김병호,《고구려를 위하여》).유대인은 2000여 년 동안 고난을 겪으면서도 디아스포라와 정체성을 유지했고, 끝내는 감동적으로 부활했다. 그런데 이 처절한 디아스포라의 존재조차 모르는 우리가 ‘민족통일’과 ‘한민족 공동체’를 실현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