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경제 얼음장, 증시는 활활…"코스피, 경기지표 역할 못해"
입력
수정
주가가 실물경제 흐름을 오롯이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상장기업의 제조업 쏠림이 심한 탓에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실물경제 흐름을 뚜렷하게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실물경제 대표성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1분기 하루 평균 코스피지수는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에 비해 45.2% 상승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은 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주가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반면 실물경제는 부진을 이어가는 등 온도차가 뚜렷했다. 코스피 지수가 상대적으로 과열 양상을 보이는 것은 상장사 상당수가 제조업체인 것과 맞물린다.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에서 제조업 상장수의 시가총액 비중은 2020년 71.9%에 달했다. 반면 서비스업은 25.5%에 불과했다. 삼성전자(우선주 포함)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제조업체 등이 차지하는 비중은 압도적이다. 이들 반도체 기업 실적이 지난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코스피 지수 상승세를 견인했다.
하지만 상장기업은 2015~2020년 실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난 5년간(2015~20년) 산업별 국내총생산(GDP)의 비중은 서비스업(51.4%)이 제조업(36.3%)을 웃돌았다.
코로나19로 제조업과 달리 서비스업은 회복이 더뎠고 실물경제도 깊은 침체를 겪었다. 한은은 주가가 전체 실물경제보다 제조업 선행지표로서 유효성이 더 높다고 평가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한국은행은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실물경제 대표성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1분기 하루 평균 코스피지수는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에 비해 45.2% 상승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은 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주가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반면 실물경제는 부진을 이어가는 등 온도차가 뚜렷했다. 코스피 지수가 상대적으로 과열 양상을 보이는 것은 상장사 상당수가 제조업체인 것과 맞물린다.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에서 제조업 상장수의 시가총액 비중은 2020년 71.9%에 달했다. 반면 서비스업은 25.5%에 불과했다. 삼성전자(우선주 포함)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제조업체 등이 차지하는 비중은 압도적이다. 이들 반도체 기업 실적이 지난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코스피 지수 상승세를 견인했다.
하지만 상장기업은 2015~2020년 실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난 5년간(2015~20년) 산업별 국내총생산(GDP)의 비중은 서비스업(51.4%)이 제조업(36.3%)을 웃돌았다.
코로나19로 제조업과 달리 서비스업은 회복이 더뎠고 실물경제도 깊은 침체를 겪었다. 한은은 주가가 전체 실물경제보다 제조업 선행지표로서 유효성이 더 높다고 평가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