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건아', 여자는 '꽃'?…성차별 교가·교훈 개선 제안
입력
수정
내일 '생활 속 성차별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 초·중·고등학교 교훈이나 교가에 포함된 관행적 성차별 표현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지난해 9월 전국 1천16개 초·중·고의 교가와 교훈에 숨어있는 성차별적 표현을 조사한 결과를 1일 공개했다.
우선 여학생을 지칭할 때 '향기, 꽃송이, 순결, 아름다운' 등으로 성 편향적인 표현을 쓰는 경우는 전국 97개 여중 가운데 64.9%(63개)가 해당했다.
69개 여고 중에는 68.1%(47개)가 이런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건아·씩씩한·나라의 기둥' 등으로 남학생을 지칭하는 경우는 전국 99개 남중 가운데 24.2%(24개)였다.
남고(70개)에서는 38.5%(27개)가 이런 표현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학생을 놓고 봤을 때 여학생이 성 편향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중학교에서는 남학생의 2배 이상이고, 고등학교에서는 1.7배로 많은 셈이다. 교가와 교훈에 나타난 사회적 역할에 대해서도 남학생은 '자주적·도전·꿈·미래·능력' 등 성취 지향적으로 표현되는 반면, 여학생은 '배려·나눔·봉사·아름답게' 등 관계 지향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중학교에서 성취 지향적으로 사용된 비율은 남중은 41.4%, 여중은 10.3%로 집계됐다.
관계 지향적 표현이 사용된 비율은 남중은 0%였지만, 여중은 34.0%에 이르렀다. 고등학교 중 남고의 45.7%는 성취 지향적 표현을 썼다.
여고에서는 11.5% 만이 이런 표현을 사용했다.
관계 지향적 표현을 사용한 남고는 아예 없었다.
여고에서는 28.9%가 이런 표현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훈이나 교가에서 성차별 표현 사용에 있어서 남학교가 남학생에게 이런 표현을 사용하는 비율은 여학교가 여학생에게 사용하는 비율보다 전반적으로 낮았다.
같은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다니더라도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성차별적 표현을 접하는 경우가 더 많은 셈이다.
조사를 수행한 김은경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여학교의 여성 편향적 표현 사용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면서 "교육부의 17개 시·도 교육청에 대한 예산 지원으로 교가·교훈 개선 작업을 지원하고, 시·도 교육청별로 교가·교훈 새로 쓰기 공모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성정책연구원은 이런 조사 결과에 대해 2일 오후 서울 은평구 여성정책연구원에서 여가부 주관으로 열리는 '생활 속 성차별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는 남궁윤영 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전국 260개 지방자치단체와 시·교육청을 상대로 마스코트 속 성차별 요소를 점검한 결과도 공개한다.
여성정책연구원 측이 미리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으로 전국 마스코트 중 43.0%에 성차별 요소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많은 유형은 남성을 진취적, 적극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반면 여성은 상냥하고 소극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사례였다.
이런 사례는 전체의 21.5%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성별 대표성 불균형(16.7%), 여성 외모·꾸밈노동 강조(4.4%) 등의 사례가 뒤를 이었다. 나아가 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8∼9월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 관련 공공기관 등 505개 기관을 상대로 자동응답시스템(ARS) 목소리 성별을 조사한 결과 91.3%가 여성목소리, 0.8% 남성 목소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정책연구원은 "ARS 음성 목소리가 성인 남녀, 어린이, 노인 등을 대표할 수 있는 목소리로 서비스되도록 지표를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토론회에서는 이 밖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여성 고용·돌봄 문제와 국제결혼 개선방안 등이 논의된다. 여가부는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에 대해 관련 부처와 협의하고 중앙성별영향평가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친 뒤 교육부와 지자체 등 관련 기관에 정책 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우선 여학생을 지칭할 때 '향기, 꽃송이, 순결, 아름다운' 등으로 성 편향적인 표현을 쓰는 경우는 전국 97개 여중 가운데 64.9%(63개)가 해당했다.
69개 여고 중에는 68.1%(47개)가 이런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건아·씩씩한·나라의 기둥' 등으로 남학생을 지칭하는 경우는 전국 99개 남중 가운데 24.2%(24개)였다.
남고(70개)에서는 38.5%(27개)가 이런 표현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학생을 놓고 봤을 때 여학생이 성 편향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중학교에서는 남학생의 2배 이상이고, 고등학교에서는 1.7배로 많은 셈이다. 교가와 교훈에 나타난 사회적 역할에 대해서도 남학생은 '자주적·도전·꿈·미래·능력' 등 성취 지향적으로 표현되는 반면, 여학생은 '배려·나눔·봉사·아름답게' 등 관계 지향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중학교에서 성취 지향적으로 사용된 비율은 남중은 41.4%, 여중은 10.3%로 집계됐다.
관계 지향적 표현이 사용된 비율은 남중은 0%였지만, 여중은 34.0%에 이르렀다. 고등학교 중 남고의 45.7%는 성취 지향적 표현을 썼다.
여고에서는 11.5% 만이 이런 표현을 사용했다.
관계 지향적 표현을 사용한 남고는 아예 없었다.
여고에서는 28.9%가 이런 표현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훈이나 교가에서 성차별 표현 사용에 있어서 남학교가 남학생에게 이런 표현을 사용하는 비율은 여학교가 여학생에게 사용하는 비율보다 전반적으로 낮았다.
같은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다니더라도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성차별적 표현을 접하는 경우가 더 많은 셈이다.
조사를 수행한 김은경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여학교의 여성 편향적 표현 사용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면서 "교육부의 17개 시·도 교육청에 대한 예산 지원으로 교가·교훈 개선 작업을 지원하고, 시·도 교육청별로 교가·교훈 새로 쓰기 공모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성정책연구원은 이런 조사 결과에 대해 2일 오후 서울 은평구 여성정책연구원에서 여가부 주관으로 열리는 '생활 속 성차별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는 남궁윤영 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전국 260개 지방자치단체와 시·교육청을 상대로 마스코트 속 성차별 요소를 점검한 결과도 공개한다.
여성정책연구원 측이 미리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으로 전국 마스코트 중 43.0%에 성차별 요소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많은 유형은 남성을 진취적, 적극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반면 여성은 상냥하고 소극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사례였다.
이런 사례는 전체의 21.5%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성별 대표성 불균형(16.7%), 여성 외모·꾸밈노동 강조(4.4%) 등의 사례가 뒤를 이었다. 나아가 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8∼9월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 관련 공공기관 등 505개 기관을 상대로 자동응답시스템(ARS) 목소리 성별을 조사한 결과 91.3%가 여성목소리, 0.8% 남성 목소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정책연구원은 "ARS 음성 목소리가 성인 남녀, 어린이, 노인 등을 대표할 수 있는 목소리로 서비스되도록 지표를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토론회에서는 이 밖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여성 고용·돌봄 문제와 국제결혼 개선방안 등이 논의된다. 여가부는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에 대해 관련 부처와 협의하고 중앙성별영향평가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친 뒤 교육부와 지자체 등 관련 기관에 정책 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