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반도체 인프라 확장 쉽게…하반기 대규모 예타 추진"

정부, 혁신성장 '빅3' 회의
센서·PIM 기술개발 등 5개

2030년까지 차부품사 1000곳
미래차 부품기업으로 전환 지원

임상전문인력 5년내 1만명 양성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1차 혁신성장 빅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 추진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신경훈 기자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K반도체 전략’에 담긴 대규모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2030년까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부품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정부는 10일 제11차 혁신성장 ‘빅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 추진회의를 열고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내 양산형 테스트베드 구축 △첨단 패키징 플랫폼 구축 △민관 공동투자 대규모 인력 양성 △시장선도형 ‘K센서’ 기술개발 △PIM(프로세싱 인 메모리)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등 5개 대규모 예비타당성 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기업의 대규모 시설 투자와 연계된 재정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양산형 테스트베드는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을 종합 지원하는 곳으로, 경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안에 구축할 계획이다. 첨단 패키징 플랫폼은 시제품 제작, 테스트, 평가·인증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민관 공동투자 인력 양성 사업은 기업과 정부가 공동 투자해 대학·연구소가 연구개발(R&D) 과제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이 함께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미래차 산업 발전에 발맞춰 2030년까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부품기업으로 전환하는 내용의 ‘자동차 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 전략’도 발표했다. 올해 2826억원을 투입해 미래차 전용 펀드를 조성하고 2025년까지 전문인력 1만 명을 양성하는 내용이다. 정부는 ‘미래차 전환 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부품기업의 전략 수립, 기술 개발, 자금 조달, 사업화 등을 밀착 지원한다. 또 민간 주도로 ‘자율주행산업협회’를 설립해 부품기업과 정보기술(IT)·서비스 등 서로 다른 업종 간 공동 R&D를 확대할 방침이다.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선 해외 의존도가 높은 전기·수소차 핵심 부품 14종의 기술 자립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70% 수준인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을 2025년까지 9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바이오 분야에선 ‘백신·신약 개발 지원을 위한 임상시험 인프라 확충 방안’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연매출 1조원 이상의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을 돕기 위한 대책이다. 2조2000억원 규모의 범부처 신약 개발 R&D 자금과 바이오 관련 정책 펀드 등을 활용해 제약사들의 임상비용 부담을 완화해주기로 했다. 임상 전문 인력도 2025년까지 1만 명 양성하고, 기업의 글로벌 임상시험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보스턴 바이오밸리에 지원 거점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