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임대료'를 어찌 '체납'하나요?
입력
수정
지면S18
'임대료'는 빌려준 대가로 받는 돈이고, '임차료'는 빌린 대가로 주는 돈이다. 그러니 "임대료를 체납했다"란 표현은 말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임차료를 체납했다"라고 해야 한다.“SK바이오, 미 노바백스 백신 ‘위탁생산’…전 세계에 공급” “인텔이 반도체 ‘위탁생산’으로 돌파구 찾는다” “르노삼성차는 2020년 닛산의 로그 ‘위탁생산’이 종료되면서 일감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위탁/수탁’은 분명히 구별되는 말이다. 위탁은 남에게 무언가를 맡기는 것이다. 반대로 수탁은 남한테서 무언가를 맡는 것이다. 예문에서는 모두 ‘위탁생산’이라고 했으니 각각의 문장 주어가 남한테 생산을 맡겼다는 뜻이어야 정상적인 어법이다.
‘임대료’는 주인의 용어…빌린 쪽에선 ‘임차료’
그런데 가만 보면 그런 뜻으로 쓴 게 아니다. 실제로는 SK바이오가 노바백스의 백신 생산을 맡은 것이다. 인텔이 반도체 생산을 남한테 맡기는 게 아니라 맡는다는 뜻이고, 르노삼성차가 닛산의 로그 생산을 맡았다는 얘기다. 그러니 모두 ‘위탁생산’이 아니라 ‘수탁생산’인 셈이다. 위탁생산과 수탁생산의 차이를 개념상으로는 알고 있을지 몰라도 막상 실생활이나 현업에서 쓰다 보면 마구 뒤섞이는 것 같다. 요즘 우리말에는 이처럼 본래의 용법을 잃어버린 채 엉뚱하게 쓰는 말들이 꽤 있다. 이른바 ‘방황하는 말’들이다. 단어의 변별성을 잘 살려 써야 논리적이고 합리적, 과학적 글쓰기가 이뤄진다.일상에서 흔히 쓰는 ‘임대/임차’도 단어의 정체성을 잃고 방황하는 말 중 하나다. ‘임대(빌려줌)’와 ‘임차(빌려 씀)’는 명백히 다른 말인데도 이를 두루 ‘임대’로 쓰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누구의 말인가’를 생각하고 써야 한다. ‘임대’는 주인의 용어이고, ‘임차’는 빌리는 사람을 주체로 한다. “인근 빌딩 1층 상가 유리창에 ‘임대인’을 구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런 데 쓰인 ‘임대인(빌려주는 사람)’은 생뚱맞다. ‘임차인(빌려 쓰는 사람)’을 잘못 쓴 것이다. 마찬가지로 ‘임대료’는 빌려준 대가로 받는 돈이고, ‘임차료’는 빌린 대가로 주는 돈이다. 그러니 “임대료를 체납했다”란 표현은 말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임차료를 체납했다”라고 해야 한다. 동네 상가의 점포 유리창에 붙어 있는 ‘임대 문의’ 같은 안내문도 본말이 전도됐다. 임차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므로 ‘임차 문의’라고 해야 앞뒤가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