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명중 1명 백신 1차 접종…지역별 접종률 전남 71%, 대구 54.4%
입력
수정
당국 "지역별 편차는 인구구조·홍보 차이 등에서 기인한 것"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이 60세 이상 고령층으로 확대되면서 접종에 속도가 붙고 있다. 이미 국민 5명 중 1명꼴로 백신을 한 차례 맞은 가운데 다음 달 50대 등에 대한 접종이 본격화되면 접종 속도는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 지역별로는 접종률에 편차를 보여 당국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12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이하 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을 받은 사람은 총 1천56만5천404명으로, 국내 인구의 20.6%를 차지한다. 또 아스트라제네카(AZ)·화이자 백신을 2차례 다 맞았거나 1회만 맞아도 되는 얀센 백신을 접종한 '접종 완료자'는 누적 263만6천135명으로, 국내 인구의 5.1% 수준이다.
60세 이상, 경찰·소방 등 사회필수인력, 예비군·민방위 등 상반기 접종대상 총 1천734만2천986명 가운데는 60.9%가 1차 접종을 마쳤다, 접종 완료자는 15.2%다.
지역별로 보면 1차 접종률에 다소 차이가 난다. 전남(71.0%), 전북(70.0%), 광주(68.4%), 충북(65.8%), 충남(64.1%), 강원(62.8%), 제주(62.6%), 세종(62.0%), 대전(61.9%), 경남(61.4%) 등 10곳은 전국 평균(60.9%)을 웃도는 반면 부산(60.3%), 경기(59.6%), 경북(59.4%), 인천(59.2%), 울산(58.0%), 서울(57.8%), 대구(54.4%) 등 7곳은 평균에 못 미쳤다.
특히 1위 전남과 17위 대구의 접종률 차이는 16.6%포인트(p)에 달했다. 추진단은 지역별 접종률 편차의 원인으로 인구구조와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차이 등을 꼽았다. 김기남 추진단 접종관리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지역별로 접종대상자에 대한 안내나 홍보 (차이) 부분도 있지만 상반기에는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접종이 진행되기 때문에 연령별 분포나 인구 구조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김 반장은 이어 "지자체별로 접종에 대한 인센티브나 홍보 등 차별화된 대책을 갖고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데 하반기에 전 국민으로 접종대상이 확대되면 (지역별) 편차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이달 내에 당초의 목표치인 '1천300만명+α', 최대 1천4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하고 내달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적용해 방역 조치를 일부 완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하반기에는 9월까지 국내 인구의 70% 정도인 3천600만명에 대해 1차 접종을 마치고 오는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정부는 거리두기와 접종에 대한 참여, 그리고 연구·개발을 통한 '백신주권' 확보가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는 '열쇠'라고 강조하면서 적극적인 접종을 재차 당부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희망자에 한해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해당 인구의 20% 정도가 '접종을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내에서도 접종을 원치 않는 사람이 있는 만큼 결국 향후 접종률이 어느 정도로 올라갈지가 11월 집단면역 달성 여부를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집단면역 형성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우리나라도 절대 접종하지 않으려는 사람이 있을 것"이라며 "그런 사람들을 설득해 나가는 게 하반기의 주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다만 아직 지역별로는 접종률에 편차를 보여 당국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12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이하 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을 받은 사람은 총 1천56만5천404명으로, 국내 인구의 20.6%를 차지한다. 또 아스트라제네카(AZ)·화이자 백신을 2차례 다 맞았거나 1회만 맞아도 되는 얀센 백신을 접종한 '접종 완료자'는 누적 263만6천135명으로, 국내 인구의 5.1% 수준이다.
60세 이상, 경찰·소방 등 사회필수인력, 예비군·민방위 등 상반기 접종대상 총 1천734만2천986명 가운데는 60.9%가 1차 접종을 마쳤다, 접종 완료자는 15.2%다.
지역별로 보면 1차 접종률에 다소 차이가 난다. 전남(71.0%), 전북(70.0%), 광주(68.4%), 충북(65.8%), 충남(64.1%), 강원(62.8%), 제주(62.6%), 세종(62.0%), 대전(61.9%), 경남(61.4%) 등 10곳은 전국 평균(60.9%)을 웃도는 반면 부산(60.3%), 경기(59.6%), 경북(59.4%), 인천(59.2%), 울산(58.0%), 서울(57.8%), 대구(54.4%) 등 7곳은 평균에 못 미쳤다.
특히 1위 전남과 17위 대구의 접종률 차이는 16.6%포인트(p)에 달했다. 추진단은 지역별 접종률 편차의 원인으로 인구구조와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차이 등을 꼽았다. 김기남 추진단 접종관리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지역별로 접종대상자에 대한 안내나 홍보 (차이) 부분도 있지만 상반기에는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접종이 진행되기 때문에 연령별 분포나 인구 구조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김 반장은 이어 "지자체별로 접종에 대한 인센티브나 홍보 등 차별화된 대책을 갖고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데 하반기에 전 국민으로 접종대상이 확대되면 (지역별) 편차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이달 내에 당초의 목표치인 '1천300만명+α', 최대 1천4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하고 내달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적용해 방역 조치를 일부 완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하반기에는 9월까지 국내 인구의 70% 정도인 3천600만명에 대해 1차 접종을 마치고 오는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정부는 거리두기와 접종에 대한 참여, 그리고 연구·개발을 통한 '백신주권' 확보가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는 '열쇠'라고 강조하면서 적극적인 접종을 재차 당부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희망자에 한해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해당 인구의 20% 정도가 '접종을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내에서도 접종을 원치 않는 사람이 있는 만큼 결국 향후 접종률이 어느 정도로 올라갈지가 11월 집단면역 달성 여부를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집단면역 형성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우리나라도 절대 접종하지 않으려는 사람이 있을 것"이라며 "그런 사람들을 설득해 나가는 게 하반기의 주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