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중간 희망퇴직 받게된 이유는? [김대훈의 뱅크앤뱅커]

사진=연합뉴스
"중도에 희망퇴직을 받아야 할 정도로 은행업이 힘든 건가요?"

신한은행이 지난 11일 ‘중간 명퇴’를 받겠다는 소식은 전 금융권에 충격을 줬다. 이에 대해 최근 취재원으로부터 질문을 들었다. 은행업이 힘든 건 아니다. 최근 시장 금리가 뛰고 있다. 기준금리도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금리 상승은 예대마진으로 먹고사는 대부분의 은행에 호재다.은행 희망퇴직은 대부분 연초 연말에 ‘정기적’이뤄진다. 임금피크제에 돌입하는 직원이 대상이다. 신한은행이 이례적로 연중 희망퇴직을 추진하는 배경에 금융권의 이목이 쏠린 이유다.

은행 측은 이달 초 노동조합에 희망퇴직을 추진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정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혜택은 나쁘지 않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15년 이상 근속하면 최대 월급의 36개월치를 지급한다. 자녀학자금 및 배우자 건강검진 지원, 창업지원 및 재채용 옵션 등이 포함돼있다.

'가능한 많은 수를 내보내겠다는 게 본점 방침'이라는 소문도 신한은행 내부 직원들 사이에서 돌고 있다. 분명한 건 올초 신한은행이 희망퇴직을 통해 내보낸 220명의 '숫자'가 적다고 판단했다는 점이다. 과거 신한은행은 순익 뿐 아니라 시스템 측면에서 가장 뛰어난 은행이라는 '리딩뱅크'라는 평을 들었다. '산업계에 삼성이 있다면, 금융권엔 신한'이라는 말이 통용됐다. 지금도 '맨파워'와 조직의 일사불란함 면에선 신한은행을 따라올 은행이 없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신한은행은 최근 수년 간 국민은행과의 순익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

이례적 중간 희망퇴직을 받는 이유는 국민은행과의 경쟁에 승부를 걸어보려는 의도가 가장 크다. 은행이 희망퇴직을 할 때 들어가는 1회성 비용은 (시중은행의 경우) 사람 수×3억~4억원 가량이다. 약 200명을 내보낸다면 특별 퇴직금 등의 명목으로 적게는 600억원에서 많게는 800억원이 필요한 셈이다. 퇴직금으로 지급된 돈은 당장 연말 순이익에서 차감된다.

그러면 은행은 왜 희망퇴직을 하는 것인가. 당장 순익엔 마이너스이지만 2년 후엔 지나면 재무적 성과(비용효율)로 반영된다는 게 은행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구조조정에 따른 은행 재무 성과는 퇴직 이후 줄어든 인건비와 그에 따른 점포 축소에 따른 비용 축소, 향후 디지털 영업의 효율성으로 발생한 이익으로 구성된다. 당장 손해가 나지만 2년 후부터는 영구적인 성과로 이어진다는 게 은행들의 설명이다. 신한은행의 경쟁자인 국민은행은 2019년 1월 613명. 2020년 462명을 희망퇴직으로 내보냈다. 올해 초에도 800명이 은행에서 짐을 쌌다.

신한은행의 희망퇴직 인원은 2018년 780여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19년 230여명, 지난해 250여명, 올초 220명으로 국민은행에 비해 적었다. 신한은행이 올해 희망퇴직의 재무적 영향이 나타나는 '2년 후'에 국민은행과 승부를 걸어보려면 올해 희망퇴직을 더 받는 게 불가피 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은행들은 디지털, IT인력을 수시로 뽑는 데 혈안이다. 디지털 금융의 바람이 거세기 때문에 체질을 바꿔야할 필요성이 커졌다. 관련분야 외부 임원을 모셔올 땐 파격적인 임금도 제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의 연봉은 아직 연공서열이 강하게 적용된다. 혜택을 높여 '계약직'인 임원 만이라도 확보하려고 노력하는 셈이다. 최근 인터넷 전문은행들도 은행의 여신, 수신 등 '핵심업무'를 맡았던 인력을 모셔오는 데 혈안이다.한 은행원은 "희망퇴직 인원이 늘어나는 것은 창구에서 친절하게 소비자를 응대했던 일반 행원들의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금융산업의 서글픈 현실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설명했다. 은행을 떠나 새로운 삶을 준비하게 된 이들의 건투를 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