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원 간담회 폐지한 한은…"'수석이코노미스트' 검토해야" [김익환의 BOK워치]
입력
수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금통위원 기자간담회를 폐지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한은이 시장과의 소통 채널을 좁히지 않기 위해 수석 이코노미스트 제도를 재가동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은과 금통위는 2017년부터 운영한 금통위원 기자간담회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은 금통위원 기자간담회는 코로나19를 이유로 2019년 11월 이후 1년7개월째 열리지 않고 있다. 앞으로도 간담회를 재개하지 않을 계획이다.일부 금통위원을 중심으로 간담회를 여는 것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진행한 간담회가 폐지 수순을 밟으면서 통화정책 혼선도 커질 전망이다. 소통길이 좁아지면서 통화정책 신호가 약화되고 그만큼 파급력·신뢰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소통 채널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중앙은행의 시각을 오롯이 전할 수석이코노미스트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영국중앙은행(BOE)도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운영하며 이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은도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김중수 총재 시절인 2010년 김준일 전 IMF 부과장을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임명한 바 있다. 연봉은 2억원대로 한은 부총재보급 대우를 받았다. 하지만 김중수 총재가 퇴임하면서 수석 이코노미스트 제도도 사라졌다. 현재 한은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에 준하는 자리는 조사국장과 경제연구원장이 꼽힌다. 하지만 이들은 경제전망보고서 설명회 등을 통해서만 언론에 얼굴을 비추고 있다. 언론 기고문·인터뷰도 일절 없다. 금통위원 기자간담회 폐지로 좁아진 소통 창구를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중앙은행의 공식적 메시지는 이주열 총재의 입에서만 나온다"며 "다양한 창구에서 메시지가 나올 경우 혼선이 커질 수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차현진 한은 연구조정역 등은 언론에 기고문을 싣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언론과 일반인들은 차 연구조정역의 입장을 중앙은행의 시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한은은 차 연구조정역의 입장과 견해가 중앙은행 시각과는 동떨어져 있고 개인적 견해라고 일축하고 있다. 정돈되지 않은 중앙은행 메시지가 여러 채널을 통해 나오는 상황인 것이다. 시장 혼선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중앙은행의 공식적 메시지 창구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할 때다. 그 수단의 하나로 수석이코노미스트 제도 복원을 고민해 볼 시점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은과 금통위는 2017년부터 운영한 금통위원 기자간담회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은 금통위원 기자간담회는 코로나19를 이유로 2019년 11월 이후 1년7개월째 열리지 않고 있다. 앞으로도 간담회를 재개하지 않을 계획이다.일부 금통위원을 중심으로 간담회를 여는 것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진행한 간담회가 폐지 수순을 밟으면서 통화정책 혼선도 커질 전망이다. 소통길이 좁아지면서 통화정책 신호가 약화되고 그만큼 파급력·신뢰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소통 채널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중앙은행의 시각을 오롯이 전할 수석이코노미스트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영국중앙은행(BOE)도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운영하며 이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은도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김중수 총재 시절인 2010년 김준일 전 IMF 부과장을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임명한 바 있다. 연봉은 2억원대로 한은 부총재보급 대우를 받았다. 하지만 김중수 총재가 퇴임하면서 수석 이코노미스트 제도도 사라졌다. 현재 한은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에 준하는 자리는 조사국장과 경제연구원장이 꼽힌다. 하지만 이들은 경제전망보고서 설명회 등을 통해서만 언론에 얼굴을 비추고 있다. 언론 기고문·인터뷰도 일절 없다. 금통위원 기자간담회 폐지로 좁아진 소통 창구를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중앙은행의 공식적 메시지는 이주열 총재의 입에서만 나온다"며 "다양한 창구에서 메시지가 나올 경우 혼선이 커질 수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차현진 한은 연구조정역 등은 언론에 기고문을 싣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언론과 일반인들은 차 연구조정역의 입장을 중앙은행의 시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한은은 차 연구조정역의 입장과 견해가 중앙은행 시각과는 동떨어져 있고 개인적 견해라고 일축하고 있다. 정돈되지 않은 중앙은행 메시지가 여러 채널을 통해 나오는 상황인 것이다. 시장 혼선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중앙은행의 공식적 메시지 창구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할 때다. 그 수단의 하나로 수석이코노미스트 제도 복원을 고민해 볼 시점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