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모넥스 "화이자 뛰어넘는 mRNA 치료제 도전"
입력
수정
지면A18
자체 약물전달 기술 보유메신저리보핵산(mRNA) 치료제는 코로나19 유행으로 가장 큰 주목을 받는 신약 분야다. 그간 독성 우려와 보관의 어려움 때문에 상용화되지 못했지만 화이자와 모더나가 백신 개발에 성공하면서 mRNA 신약 시대가 본격화했다.
원철희 대표 "상온보관 가능"
25兆 흉터 치료제 시장 공략
토종 기업인 레모넥스는 화이자와 모더나를 뛰어넘는 mRNA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원철희 레모넥스 대표(사진)는 14일 “상온에서도 독성 문제 없이 안전하게 mRNA 약물을 체내에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며 “mRNA 기반 전염병·항암 백신 개발에 나서겠다”고 말했다.mRNA는 특정 단백질에 대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일종의 설계도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속 mRNA는 코로나바이러스에서 세포 감염에 쓰이는 단백질에 대한 ‘도면’을 갖고 있다. 몸속 면역세포는 이 mRNA를 바탕으로 생성된 바이러스 단백질을 공격하면서 면역력을 갖게 된다. 하지만 mRNA는 혈액 속에서 쉽게 분해돼 보호막이 필요하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은 지질나노입자(LNP)로 불리는 기름 보호막을 쓰지만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냉동 보관이 필수다.
레모넥스는 mRNA 등의 약물을 전달하는 ‘데그라다볼’이라는 독자기술을 갖고 있다. 구멍이 숭숭 나있는 공 모양의 약물전달체에 mRNA 등의 약물을 실어 치료제로 만들 수 있다. 체내에 남으면 독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LNP와 달리 이 약물전달체는 몸속에서 서서히 분해된다. 고체 가루 형태로 만들 수 있어 냉동 보관할 필요도 없다.
이 회사는 이 기술을 적용한 비대흉터 치료제 ‘LEM-S401’로 호주 정부에 임상 1상을 신청했다. LEM-S401은 흉터 유발 단백질을 생산하는 RNA를 잘라낼 수 있는 물질인 ‘소간섭 RNA(siRNA)’를 약물로 활용한다. 원 대표는 “세계 비대흉터 치료 시장은 25조원 규모에 달하지만 아직 확실한 치료제가 없다”며 “개발 중인 경쟁 치료제 대비 100분의 1 용량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이 회사는 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국소 투여가 가능한 면역항암제도 만들고 있다. 원 대표는 “투약 횟수를 1일 2회에서 1주 1회로 줄였다”며 “암세포에서 나타나는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mRNA를 이용해 면역세포의 암세포 공격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항암백신과 코로나19 이후 유행할 전염병 백신 등으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