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9초 만에 임무 완료…국내 최초 '화재감지' 드론 보니 [배성수의 다다IT선]
입력
수정

한국경제신문이 지난 15일 찾은 경기도 여주 방재시험연구원 종합화재시험동 테스트 현장. 상공을 비행하던 LG유플러스의 임무형 드론 서비스 ‘U+스마트드론’이 단번에 화재 현장을 포착했다. 드론이 화재를 확인하고 관제센터에 알림과 화재 정보, 정확한 주소 등 화재 정보를 전달하기까지 정확히 9초가 소요됐다.U+스마트드론은 LG유플러스가 국내 최초로 국제공인시험기관 방재시험연구원으로부터 화재감지 기능을 검증을 받은 드론이다. 화재를 단 번에,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이 드론은 기체에 엣지 기반 인공지능(AI) 기반 영상 분석 엔진과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했다. 제어 거리에 제한이 없는 이동통신 및 원격제어 기능을 탑재해 비가시권 원격관제와 실시간 영상전송을 할 수 있다. PC,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 다중 시청도 가능하다.
이날 진행된 U+스마트드론의 화재 감지 테스트에서 드론은 40m 높이의 상공을 주행했다. 5세대(5G) 이동통신·롱텀에볼루션(LTE) 통신을 기반으로 정해진 경로를 비행했다. 시험동 상공을 총 7곳의 포인트로 나눠 약 2~3초간 체류하며 각 구간마다 605평에 달하는 공간의 화재 여부를 살폈다. 기체에 달린 RGB(Red·Green·Blue) 카메라가 화재로 추정되는 불길을 발견하면,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화재를 확실하게 파악하는 식이다.

U+스마트드론은 어두운 밤은 물론 밝은 대낮에서도 화재 여부를 원격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그간 현장에선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서 CCTV 등 주로 영상 감지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불길이 작아 화재를 탐지하지 못하거나(미탐지), 화재가 아닌데 화재로 오인하는(오탐지) 경우가 많았다. 미탐(지)율과 오탐(지)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게 U+스마트드론의 특징이다.
이날 시연 현장에서 만난 정국희 LG유플러스 영상플랫폼개발팀 팀장은 “AI 기반의 RGB 분석만으론 일몰·일출, 자동차 불빛, 유리벽 색 반사나 바람에 흔들리는 붉은 천 등을 화재로 오인할 수 있다”며 “U+스마트드론은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2차 판단을 할 수 있게 했고, 이를 통해 오탐률이 대폭 감소돼, 99.9% 이상에 달하는 높은 화재 검출률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U+스마트드론의 AI 화재 감지 서비스가 향후 산림이나 농지 등을 관리하는 다양한 기관과 기업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CCTV의 사각지대나, 인력으로 확인이 어려운 도서산간 지역에서의 활용도가 클 것으로 추측된다. 정 팀장은 “화재 예방 영역에서의 쓰임새를 꾸준히 개선하고, 나아가 다채로운 기술 융합을 통해 U+스마트드론의 B2B, B2G 시장을 지속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손근식 방재시험연구원 박사는 “재난 방지를 위해선 다양한 모니터링 수단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화재의 경우 초기 식별이 필수적인데,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생겼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