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무인 전투기도 데이터가 핵심…학습경험 부족해 개발 지연"
입력
수정
지면A10
방위고등연구계획국 보고서
"데이터 확보해야 기술 고도화"
항공기가 자율주행 1단계에 접어든 시점은 1912년 자동조타장치 도입 시기로 평가됐다. 이는 2000년 적응형 순항제어(ACC) 기술 도입을 기점으로 1단계에 접어든 자동차에 비해 88년 앞선 시점이다. 하지만 20여 년 사이 전세가 뒤바뀐 것으로 DARPA는 분석했다.무인 전투기 개발 지연은 데이터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실전’이 아닌 모의 환경이 상당수인 국방 데이터는 양질의 데이터를 얻기 쉽지 않다. DARPA는 “자율주행 차량은 최근 20년간 수십 개 회사가 수억 마일을 주행하며 데이터를 쌓았다”며 “반면 무인 전투기는 테스트 베드 구축조차 안 돼 있다”고 지적했다.
AI 전투기와 인간 조종사가 편대를 이루는 유무인 복합체계(MUM-T)를 구축하고, 미 공군 조종사와 유인 전투기들을 테스트 자원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해법으로 제시됐다. 류봉균 EpiSci 대표는 “무인 전투기는 자율주행차에 비해 AI 기술이 오히려 덜 복잡해 실험에 많이 투입될 경우 상황이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송영찬/이시은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