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패션의 변신…몸집 줄이고 해외명품 발굴
입력
수정
지면A20
삼성디자인넷 20년만에 폐쇄
외부 공유 대신 내실 다지기
아미·르메르·비이커 등 실적 견인
공들인 해외명품, MZ세대 홀려
국내 유일 리서치기능 폐쇄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삼성디자인넷의 온라인 서비스를 지난 4월 30일자로 종료했다”고 21일 밝혔다.2001년 연 삼성디자인넷은 삼성패션연구소가 국내외 패션 콘텐츠를 제공해왔다. 각종 국내외 패션 정보가 한데 모인 ‘리서치 센터’ 역할을 해오던 사이트다. 패션 트렌드 정보, 마케팅 정보, 각종 뉴스 및 리포트 등 텍스트 자료 7만 건이 저장돼 있고, 이미지 자료 50만 건, 리서치 데이터 8만 건의 방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등급별로 차별화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어 주로 패션업계 종사자가 자료 검색을 위해 애용해왔다. 코로나19로 인한 패션업계의 위기 상황과 전략을 검색하면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최대 남성복 박람회 ‘이태리 피티워모’의 최신 리포트를 열람할 수 있었다.패션업계 관계자는 “세계 패션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어 패션 종사자들이 자주 사용하던 사이트”라며 “패션 종사자 대다수가 이용해왔다”고 말했다.
뷰티·패션 저널 WWD 등 해외사이트의 등장으로 이용빈도가 이전만 못했지만 업계에서는 전면 폐쇄까지는 예상하지 못했다는 반응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리포트와 정보를 외부로 공유하는 게 목적이었다면 이제 내부 사업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패션업계에서는 내부 경영효율화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삼성패션은 지난해 말 코로나19로 인한 경영 악화로 무급휴직을 시행했다. 패션 인력도 지난해 1분기 1520명에서 1년 사이 1333명으로 줄었다.
부쩍 늘어난 해외명품 브랜드 비중
패션업계 관계자는 “이 이사장이 해외 유명 브랜드를 들여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건 사실”이라며 “이건희 회장 사망 후 두 자녀가 법정 상속 비율대로 지분을 받으면서 삼성 내 역할이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