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이 이끄는 세계 연합팀, 中 포위망 강화
입력
수정
지면A12
美, 中 기술 굴기 저지하려올해 창당 100주년을 맞은 공산당은 중국 건국 100주년인 2049년에 세계 최강국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선 필연적으로 최강대국 미국을 넘어서야 한다.
EU와 무역기술위원회 신설
中은 러시아 등 기존 동맹 강화
AI·양자컴·반도체·바이오 집중
미국은 중국이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올라서기 4년 전인 2006년부터 ‘주요 2개국(G2)’이라는 용어를 내놓으며 중국을 최대 라이벌로 지목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2017년 ‘2035년 선진국, 2050년 최강국’이라는 중국몽(夢) 로드맵을 세우자 미국의 견제는 더 거세지고 있다.
중국의 국제정치 전문가들은 현재 국제정세를 양자 대결로 분석한다. 미국이 이끄는 ‘세계 연합팀’과 ‘중국 단독팀’ 구도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1(미국) 대 1(중국) 구도보다 동맹국을 규합하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전략이 더 부담스럽다는 설명이다.
미국은 최근 유럽연합(EU)과의 정상회의에서 중국의 기술굴기를 저지하기 위해 함께 무역기술위원회(TTC)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 주요 7개국(G7)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서도 중국을 견제하며 대중 포위망 확대에 나섰다. 서방 국가들은 홍콩과 신장위구르 인권 문제를 집요하게 거론하며 중국의 국제적 입지를 축소시키고 있다.미·중 갈등 속에서 전략적 모호성을 견지하던 한국 정부의 기류도 변하고 있다. 지난달 21일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는 대만해협과 남중국해 관련 문구가 포함됐다. 한국 정상이 서명한 성명에 중국이 극도로 민감해하는 두 사안이 들어간 건 이번이 처음이다.
G7 정상회의에서도 한국은 대중 견제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3일 참석한 G7 정상회의 ‘열린 사회 성명’에는 인권, 민주주의, 법치주의 등의 가치를 보호하자는 내용이 포함됐다.
미국이 주로 신장위구르자치구, 대만, 홍콩 문제 등을 놓고 중국을 비판할 때 사용하는 표현들이다.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협력하기로 한 반도체와 배터리, 의료용품은 중국이 가장 시급하다고 여기는 품목”이라고 지적했다. 한·중 관계에서 한국이 더 적극적으로 주도권을 확보할 발판이 마련됐다는 진단도 나온다.
미국 중심 세계 연합팀의 압박에 직면한 중국은 러시아 등 기존 동맹들과의 관계를 다지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기술 자립에 사활을 걸고 있다. 2035년까지 인공지능, 양자컴퓨터,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 과학기술 영역 연구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리커창 총리는 “10년 동안 칼 하나를 가는 정신으로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송영찬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