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땅 팠더니…세종 때 '한글 금속활자' 쏟아져 나왔다
입력
수정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평구역 15·16지구에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가 반영된 한글 금속활자 600여점을 비롯한 금속 유물들이 무더기로 출토됐다. 이번에 나온 유물들은 조선시대 전기인 15~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세종 연간의 과학기술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문화재청은 수도문물연구원이 발굴조사 중인 '서울 공평구역 제15·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 내 유적'에서 항아리에 담긴 많은 금속 유물들이 한데 묻혀있는 상태로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조선 전기에 제작된 금속활자 1600여점을 비롯해 △세종~중종때 제작된 자동 물시계 부품과 △세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천문시계 △중종~선조때 만들어진 총통류 8점, 동종 1점 등이다.이번에 나온 금속활자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가 반영된 한글 금속활자들이다. 중국의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한 '동국정운식 표기법'은 15세기에만 사용됐는데, 이 같은 표기법을 쓴 금속활자가 실물로 확인된 건 처음이다. 극히 희귀한 '연주활자'도 10여점 출토됐다. 연주활자는 한문 사이에 자주 썼던 한글토씨 '이며' '이고' 등 두 글자를 하나의 활자에 표기해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을 한다.
상당수 활자는 세종 시기인 1434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까지 출토된 조선 금속활자 중 가장 이른 시기 만들어진 것은 세조 때 제작된 을해자(1455년)였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한글 창제의 실제 여파와 더불어 활발하게 이뤄진 당시 인쇄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1438년(세종 20년)에 제작된 흠경각 옥루 혹은 1536년(중종31년) 창덕궁에 새로 설치한 보루각의 자격루의 일부로로 추정되는 주전(자동물시계의 시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장치)도 발견됐다. 기록으로만 전해져오던 조선시대 자동 물시계의 주전이 처음 실물로 확인된 것이다. 주·야간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도 출토됐다. 낮에는 해시계로 사용되고 밤에는 해를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해 별자리를 이용해 시간을 가늠하는 장치다.문화재청 관계자는 "조사 결과 조선 전기부터 근대까지의 총 6개의 문화층이 확인됐다"며 "금속활자 등이 출토된 층위는 현재 지표면으로부터 3m 아래인 6층에 해당하며 16세기가 주 시대"라고 설명했다. 이번 유물들은 1588년 이후에 묻혔다가 다시 활용되지 못하고 오늘날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29일 문화재청은 수도문물연구원이 발굴조사 중인 '서울 공평구역 제15·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 내 유적'에서 항아리에 담긴 많은 금속 유물들이 한데 묻혀있는 상태로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조선 전기에 제작된 금속활자 1600여점을 비롯해 △세종~중종때 제작된 자동 물시계 부품과 △세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천문시계 △중종~선조때 만들어진 총통류 8점, 동종 1점 등이다.이번에 나온 금속활자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가 반영된 한글 금속활자들이다. 중국의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한 '동국정운식 표기법'은 15세기에만 사용됐는데, 이 같은 표기법을 쓴 금속활자가 실물로 확인된 건 처음이다. 극히 희귀한 '연주활자'도 10여점 출토됐다. 연주활자는 한문 사이에 자주 썼던 한글토씨 '이며' '이고' 등 두 글자를 하나의 활자에 표기해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을 한다.
상당수 활자는 세종 시기인 1434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까지 출토된 조선 금속활자 중 가장 이른 시기 만들어진 것은 세조 때 제작된 을해자(1455년)였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한글 창제의 실제 여파와 더불어 활발하게 이뤄진 당시 인쇄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1438년(세종 20년)에 제작된 흠경각 옥루 혹은 1536년(중종31년) 창덕궁에 새로 설치한 보루각의 자격루의 일부로로 추정되는 주전(자동물시계의 시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장치)도 발견됐다. 기록으로만 전해져오던 조선시대 자동 물시계의 주전이 처음 실물로 확인된 것이다. 주·야간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도 출토됐다. 낮에는 해시계로 사용되고 밤에는 해를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해 별자리를 이용해 시간을 가늠하는 장치다.문화재청 관계자는 "조사 결과 조선 전기부터 근대까지의 총 6개의 문화층이 확인됐다"며 "금속활자 등이 출토된 층위는 현재 지표면으로부터 3m 아래인 6층에 해당하며 16세기가 주 시대"라고 설명했다. 이번 유물들은 1588년 이후에 묻혔다가 다시 활용되지 못하고 오늘날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