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팜, 포스텍서 mRNA 백신 원액 대량생산 조언받는다
입력
수정
"미세유체공학 기술 활용…단기간 내 1억명분 백신 원액생산 목표"
에스티팜은 포스텍 지능형 미세유체 의약합성 연구단과 연구 조언을 구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메신저 리보핵산(mRNA) 분자를 지질나노입자(LNP)로 코팅한 백신 원액을 대량 생산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해서다.
에스티팜은 향후 2년간 포스텍 연구단에서 미세유체공학 기술을 적용한 LNP 구조체의 제조 장치 및 공정기술 개발에 관한 조언을 받는다.
결과물과 지식재산권은 에스티팜과 포스텍 연구단이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며, 연구 기간 중 또는 만료 후 1년 이내에는 동일한 연구 활동이 제한된다. 연구 책임자인 지능형 미세유체 의약합성 연구단의 김동표 단장은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로, 미세유체 반응기 설계 및 제작, 화학 공정 응용연구 분야의 권위자다.
미세유체공학 기술은 매우 작은 공간에서 0.001∼01초의 순간적인 자연 확산 반응을 일으켜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첨단 기술이다.
고순도 의약품 합성 및 최근 mRNA 백신 제조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mRNA 백신은 제조과정에서 안전성이 낮은 mRNA 분자를 LNP의 지질 보호막으로 코팅하고 보호막 내에 균일한 상태로 분포시켜야 한다.
LNP의 지질 보호막 안에 구성 물질이 고르게 분산되고 크기와 모양이 균질할 때 mRNA 약물 효능이 최대화되고 부작용이 줄어든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에스티팜은 mRNA가 탑재된 LNP 입자의 크기를 50∼90㎚(나노미터)로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코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LNP 구조체 생산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포스텍과의 자문 연구로 미세유체 반응기와 공정기술을 구축해 단기간 내 1억명 이상에게 접종할 수 있는 mRNA 백신 원액 생산 플랫폼을 확보할 계획이다.
지질의 종류와 조성 비율을 최적화하고 유기용매 사용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원천기술도 확보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에스티팜은 포스텍 지능형 미세유체 의약합성 연구단과 연구 조언을 구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메신저 리보핵산(mRNA) 분자를 지질나노입자(LNP)로 코팅한 백신 원액을 대량 생산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해서다.
에스티팜은 향후 2년간 포스텍 연구단에서 미세유체공학 기술을 적용한 LNP 구조체의 제조 장치 및 공정기술 개발에 관한 조언을 받는다.
결과물과 지식재산권은 에스티팜과 포스텍 연구단이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며, 연구 기간 중 또는 만료 후 1년 이내에는 동일한 연구 활동이 제한된다. 연구 책임자인 지능형 미세유체 의약합성 연구단의 김동표 단장은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로, 미세유체 반응기 설계 및 제작, 화학 공정 응용연구 분야의 권위자다.
미세유체공학 기술은 매우 작은 공간에서 0.001∼01초의 순간적인 자연 확산 반응을 일으켜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첨단 기술이다.
고순도 의약품 합성 및 최근 mRNA 백신 제조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mRNA 백신은 제조과정에서 안전성이 낮은 mRNA 분자를 LNP의 지질 보호막으로 코팅하고 보호막 내에 균일한 상태로 분포시켜야 한다.
LNP의 지질 보호막 안에 구성 물질이 고르게 분산되고 크기와 모양이 균질할 때 mRNA 약물 효능이 최대화되고 부작용이 줄어든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에스티팜은 mRNA가 탑재된 LNP 입자의 크기를 50∼90㎚(나노미터)로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코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LNP 구조체 생산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포스텍과의 자문 연구로 미세유체 반응기와 공정기술을 구축해 단기간 내 1억명 이상에게 접종할 수 있는 mRNA 백신 원액 생산 플랫폼을 확보할 계획이다.
지질의 종류와 조성 비율을 최적화하고 유기용매 사용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원천기술도 확보할 방침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