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자도 지원자도 울리는 '눈 가리고 아웅' 블라인드 채용 [여기는 논설실]
입력
수정
조세재정연구원(조세연)이 2017년부터 블라인드 채용이 의무화된 24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이 제도가 채용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 최근 발표해 이목을 끌었다. 결론은 학력 성별 연령 등을 보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이 실제 채용 결과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소위 SKY대 출신 입사자 비율은 도입 전에 비해 0.5% 포인트 낮아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게 조세연의 결론이다. 일부 기관에서는 지원자의 능력을 알 수 없어서 필기 시험을 더욱 어렵게 출제한 결과 오히려 SKY대 출신 합격자 비율이 높아진 반면 고졸 출신이 배제되는 일도 생겼다고 한다. 블라인드 채용이 결과적으로 학력에 따른 차별을 심화시킨 결과를 빚은 경우까지 생겼다는 얘기다. 여성 합격자 비율이나 연령별 합격자 비율 변화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는 게 조세연의 설명이다. 블라인드 채용으로 크게 달라진 항목이 하나 있기는하다. 바로 신입사원의 1년내 퇴사율이다. 제도 도입후 1년내 퇴사자 비중은 4% 포인트 올라갔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는 게 조세연의 분석이다. 일종의 '깜깜이' 채용인 블라인드 채용 결과 입사자와 공공기관 간 인력 미스매치가 발생한 결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블라인드 채용은 합격자의 스펙에 별 변화를 주지 못하고 신입사원의 단기 퇴사율만 높였다는 것이다. 사실 이런 결과는 이미 예측됐다. 아무리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을 하라고 해도 사원을 채용하는 입장에서는 직접적 방법이든, 간접적 방법이든 간에 어떻게 해서든 지원자의 스펙을 확인하려 들 게 마련이다.
편법적으로 스펙을 확인하는 채용기관의 경우 채용절차가 상대적으로 단순할 것이고 곧이 곧대로 스펙을 일절 보지 않는 기관은 지원자들의 능력을 어떻게든 확인하기 위해 복잡하고 까다로운 채용절차를 택할 가능성이 크다. 민간기업에는 블라인드 채용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정부의 방침으로 많은 민간기업들 역시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택하는 추세다. 블라인드 채용을 택한 기업은 공기업이든 민간기업이든 채용절차가 매우 까다롭다. 서류나 필기에 합격해도 갈 길은 멀기만 하다. 면접만 해도 아침부터 저녁까지 이어지는 1차 면접을 치르고 다시 2차에 3차 면접까지 하는 곳도 적지 않다. 지원자들은 그야말로 녹초가 된다. 코로나로 신규 인력 채용이 대폭 줄어 취업문은 바늘구멍인데 채용절차가 이리도 까다로우니 청년들이 좌절할 만도 하다.
채용을 담당하는 인사담당자들도 피곤하기는 마찬가지다. 채용절차가 복잡 다기해지다 보니 준비는 물론 평가, 사후관리 등에 여간 많은 공이 들어가는 게 아니다. 특히 블라인드 채용으로 지원자들의 능력 파악이 어려워 지원자 선정에 애를 먹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조기 퇴사자는 늘어나니 수시 채용으로 다시 충원해야해 할 일도 많아졌다. 공공기관의 경우 인사팀이 기피 부서가 될 정도라고 한다.
조세연 보고서를 쓴 연구위원이 "응시자의 성별 외모, 가족관계 등을 평가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학위와 전공까지 편견 요소로 분류하는 건 재검토 해야 한다"고 말한 것도 이런 부작용 때문이다.이런 숱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현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을 밀어붙이고 있는 것은 '차별 금지' '약자 보호' '기회 균등'과 같은 그럴듯한 구호를 내세우면 지지자를 끌어모으기 좋다고 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주장이 맹목적으로 현실화되면 역차별 등 심각한 부작용을 낳는다는 걸 우리는 수도 없이 목도해왔다.
인간에게는 기본적인 욕구가 있다. 기업은 가급적 좋은 인재를 뽑으려하고 물건을 사려는 사람은 좀 더 쾌적한 곳에 가서 쇼핑을 하고 싶어한다. 이왕이면 새 집, 좋은 집을 사서 거기에 살고 싶은 것 역시 인간의 본성이다. 그런데 현 정부는 이런 욕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기계적 평등을 위해 채용시 스펙을 보지 못하게 하고 전통시장을 보호해야 한다며 이젠 대중화된 대형마트 쇼핑을 어떻게든 규제하려고 든다. 좋은 집에서 살려는 본성을 '투기'라고 매도하며 부동산 공급을 틀어막고 투기를 잡는다며 규제만 쏟아낸다.
그 결과가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겉도는 블라인드 채용이며 시대에 역행하는 대형마트와 복합쇼핑몰 규제다. 현 정부들어 두배로 뛰어 올라 서민들은 이제 쳐다보기도 힘들어진 수도권 아파트 값도 바로 그런 결과물이다. 어처구니 없는 것은 정작 소위 정권 실세라고 하는 사람중에는 뒤에서 누릴 것 다 누리고 부동산 투기까지 일삼는 이들이 한둘이 아니라는 점이다. 국민들에게는 하지 말라고 하면서 자기들은 뒤에서 다한다. 더욱 웃긴 건 블라인드 채용을 그렇게 떠드는 사람들이 자기들 인사에서는 블라인드는커녕 오직 '우리편' '내편'만 쓴다는 것이다. 내각이나 청와대 참모는 말할 것도 없고 온갖 공공기관과 유관기관 관련 위원회 책임자들은 민주당 사람이거나 과거 민주당 정권에서 일했던 사람들 일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물론 선거에서 승리한 여당이 국정 장악을 위해 자기쪽 사람을 쓰는 것은 보편적인 일이다. 하지만 역대 정권 중 지금처럼 야권쪽 인사는 철저히 배제한 채, 오직 내편, 내사람만 고집스럽게 돌려막는 정권은 유례가 없다. 이런 사람들이 공공기관과 기업에는 묻고 따지지도 말고 블라인드 채용을 하라고 한다. 아무리 '내로남불'이 일상화된 정권이라고 하지만 해도 너무한 것 아닌가.
김선태 논설위원
소위 SKY대 출신 입사자 비율은 도입 전에 비해 0.5% 포인트 낮아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게 조세연의 결론이다. 일부 기관에서는 지원자의 능력을 알 수 없어서 필기 시험을 더욱 어렵게 출제한 결과 오히려 SKY대 출신 합격자 비율이 높아진 반면 고졸 출신이 배제되는 일도 생겼다고 한다. 블라인드 채용이 결과적으로 학력에 따른 차별을 심화시킨 결과를 빚은 경우까지 생겼다는 얘기다. 여성 합격자 비율이나 연령별 합격자 비율 변화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는 게 조세연의 설명이다. 블라인드 채용으로 크게 달라진 항목이 하나 있기는하다. 바로 신입사원의 1년내 퇴사율이다. 제도 도입후 1년내 퇴사자 비중은 4% 포인트 올라갔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는 게 조세연의 분석이다. 일종의 '깜깜이' 채용인 블라인드 채용 결과 입사자와 공공기관 간 인력 미스매치가 발생한 결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블라인드 채용은 합격자의 스펙에 별 변화를 주지 못하고 신입사원의 단기 퇴사율만 높였다는 것이다. 사실 이런 결과는 이미 예측됐다. 아무리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을 하라고 해도 사원을 채용하는 입장에서는 직접적 방법이든, 간접적 방법이든 간에 어떻게 해서든 지원자의 스펙을 확인하려 들 게 마련이다.
편법적으로 스펙을 확인하는 채용기관의 경우 채용절차가 상대적으로 단순할 것이고 곧이 곧대로 스펙을 일절 보지 않는 기관은 지원자들의 능력을 어떻게든 확인하기 위해 복잡하고 까다로운 채용절차를 택할 가능성이 크다. 민간기업에는 블라인드 채용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정부의 방침으로 많은 민간기업들 역시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택하는 추세다. 블라인드 채용을 택한 기업은 공기업이든 민간기업이든 채용절차가 매우 까다롭다. 서류나 필기에 합격해도 갈 길은 멀기만 하다. 면접만 해도 아침부터 저녁까지 이어지는 1차 면접을 치르고 다시 2차에 3차 면접까지 하는 곳도 적지 않다. 지원자들은 그야말로 녹초가 된다. 코로나로 신규 인력 채용이 대폭 줄어 취업문은 바늘구멍인데 채용절차가 이리도 까다로우니 청년들이 좌절할 만도 하다.
채용을 담당하는 인사담당자들도 피곤하기는 마찬가지다. 채용절차가 복잡 다기해지다 보니 준비는 물론 평가, 사후관리 등에 여간 많은 공이 들어가는 게 아니다. 특히 블라인드 채용으로 지원자들의 능력 파악이 어려워 지원자 선정에 애를 먹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조기 퇴사자는 늘어나니 수시 채용으로 다시 충원해야해 할 일도 많아졌다. 공공기관의 경우 인사팀이 기피 부서가 될 정도라고 한다.
조세연 보고서를 쓴 연구위원이 "응시자의 성별 외모, 가족관계 등을 평가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학위와 전공까지 편견 요소로 분류하는 건 재검토 해야 한다"고 말한 것도 이런 부작용 때문이다.이런 숱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현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을 밀어붙이고 있는 것은 '차별 금지' '약자 보호' '기회 균등'과 같은 그럴듯한 구호를 내세우면 지지자를 끌어모으기 좋다고 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주장이 맹목적으로 현실화되면 역차별 등 심각한 부작용을 낳는다는 걸 우리는 수도 없이 목도해왔다.
인간에게는 기본적인 욕구가 있다. 기업은 가급적 좋은 인재를 뽑으려하고 물건을 사려는 사람은 좀 더 쾌적한 곳에 가서 쇼핑을 하고 싶어한다. 이왕이면 새 집, 좋은 집을 사서 거기에 살고 싶은 것 역시 인간의 본성이다. 그런데 현 정부는 이런 욕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기계적 평등을 위해 채용시 스펙을 보지 못하게 하고 전통시장을 보호해야 한다며 이젠 대중화된 대형마트 쇼핑을 어떻게든 규제하려고 든다. 좋은 집에서 살려는 본성을 '투기'라고 매도하며 부동산 공급을 틀어막고 투기를 잡는다며 규제만 쏟아낸다.
그 결과가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겉도는 블라인드 채용이며 시대에 역행하는 대형마트와 복합쇼핑몰 규제다. 현 정부들어 두배로 뛰어 올라 서민들은 이제 쳐다보기도 힘들어진 수도권 아파트 값도 바로 그런 결과물이다. 어처구니 없는 것은 정작 소위 정권 실세라고 하는 사람중에는 뒤에서 누릴 것 다 누리고 부동산 투기까지 일삼는 이들이 한둘이 아니라는 점이다. 국민들에게는 하지 말라고 하면서 자기들은 뒤에서 다한다. 더욱 웃긴 건 블라인드 채용을 그렇게 떠드는 사람들이 자기들 인사에서는 블라인드는커녕 오직 '우리편' '내편'만 쓴다는 것이다. 내각이나 청와대 참모는 말할 것도 없고 온갖 공공기관과 유관기관 관련 위원회 책임자들은 민주당 사람이거나 과거 민주당 정권에서 일했던 사람들 일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물론 선거에서 승리한 여당이 국정 장악을 위해 자기쪽 사람을 쓰는 것은 보편적인 일이다. 하지만 역대 정권 중 지금처럼 야권쪽 인사는 철저히 배제한 채, 오직 내편, 내사람만 고집스럽게 돌려막는 정권은 유례가 없다. 이런 사람들이 공공기관과 기업에는 묻고 따지지도 말고 블라인드 채용을 하라고 한다. 아무리 '내로남불'이 일상화된 정권이라고 하지만 해도 너무한 것 아닌가.
김선태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