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점검 장마] ② 올해도 '게릴라성 호우' 온다…곳곳 물난리 대비 비상
입력
수정
작년 장마때 46명 사망·1조3천억 피해…올해 평년보다 비 더 내릴 확률 30%
중대본, 댐 방류 예고 시간 앞당기고 재해 우려지역 추가 지정 등 '대비 분주' 올여름 대기 불안정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가 자주 내릴 것으로 예보되면서 지난해와 같은 대형 물난리가 반복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재난 당국은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는 '물폭탄'에 대비하기 위해 수해 위험 지역을 사전 조사하고, 댐 방류 예고 시간을 앞당기는 등 피해 최소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1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장마는 2일을 전후해 제주에서 시작해 4∼5일 전라도 등 남부지방과 7∼8일 충청도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때 내리는 비는 모두 저기압이 관여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일정한 지역에만 폭우가 쏟아질 수 있다. 임보영 기상청 기상사무관은 "지난해와 같이 요란한 집중호우가 내릴지는 확언할 수 없다"며 "현재 7∼9월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확률은 30% 정도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해에는 중국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기압능(저기압을 나타내는 선에 둘러싸여 골짜기를 이루는 고기압 구역)이 발달하다 보니 찬 공기가 한반도에 자리하고 있어 강수가 많았다"며 "올해도 한반도에 찬 공기 유입이 많고, 열대 태평양의 대류 활동도 활발하다면 특정 지역에 폭우가 쏟아지는 국지성 호우가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재난 당국은 지난 5월 15일부터 오는 10월 15일까지를 여름철 태풍·호우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18개 중앙부처와 17개 시·도 등 관계기관이 합동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54일이라는 최장기 장마 동안 46명이 숨지고 1조3천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10년간 연평균 피해(15명, 3천147억원)의 3배가 넘는 규모다.
특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지난해 숨진 46명 모두가 재해 우려 지역이 아닌 곳에서 발생한 만큼 사전에 재해 우려 지역 4천309개소, 산사태 취약지역 246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수해 예방 시간을 벌기 위해 댐 방류도 기존 3시간 전에서 24시간 전 예고 체제로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해 섬진강 유역에는 국지성 호우로 갑자기 불어난 물에 제방이 무너지면서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컸다.
당시 댐 방류 예고 시간이 짧아 주민들의 대응 시간이 부족해 수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충남과 부산, 전북, 광주전남 등 수해 우려가 컸던 지역들도 세찬 장맛비 예보에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해 충남도는 주택 1천726동과 농경지 3천여㏊, 예산지역 사과밭 41ha 등이 물에 잠기거나 토사에 매몰됐다.
도는 피해가 컸던 벼와 시설하우스 등을 상습 침수구역으로 선정해 배수로를 개선하고 있다.
또 충남을 지나는 8개 하천 248㎞ 구간에 폐쇄회로(CC)TV 190개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장마철 하천 수위를 체크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부산 전역 지하차도에 수위 감지 자동 통제시스템을 설치하고 올해 안에 조기 경보시스템 5곳도 새로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부산 동구에서는 초량지하차도가 침수돼 3명이 숨졌다.
지난해 21개 저수지가 붕괴한 전북도는 저수지 붕괴 시 신속한 대응 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익산시 왕궁저수지 붕괴를 가정하는 훈련 등을 실시했다.
해상 가두리 양식장이 모여 있는 경남도는 폭우로 양식장이 부서지거나 담수 유입으로 양식어류가 폐사하는 피해를 막기 위해 어민들에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양식수산물 재해보험 가입 등을 당부하고 있다. 정제룡 중대본 자연재난대응과장은 "지난해 수해 피해가 컸기 때문에 우려 지역을 중심으로 행안부는 행안부대로, 각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재해 우려 지역을 점검하고 있다"며 "재난·재해 발생 징후가 나타날 경우 사전 대피를 권고하는 등 선제로 주민 대피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 과장은 "정부의 여러 대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의 동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장마나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수로 등 주변 환경을 미리 정비해주고 대피 명령이 발동하면 서둘러 몸을 피해 달라"고 말했다. (이정훈 양영석 김진방 나보배 기자)
/연합뉴스
중대본, 댐 방류 예고 시간 앞당기고 재해 우려지역 추가 지정 등 '대비 분주' 올여름 대기 불안정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가 자주 내릴 것으로 예보되면서 지난해와 같은 대형 물난리가 반복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재난 당국은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는 '물폭탄'에 대비하기 위해 수해 위험 지역을 사전 조사하고, 댐 방류 예고 시간을 앞당기는 등 피해 최소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1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장마는 2일을 전후해 제주에서 시작해 4∼5일 전라도 등 남부지방과 7∼8일 충청도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때 내리는 비는 모두 저기압이 관여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일정한 지역에만 폭우가 쏟아질 수 있다. 임보영 기상청 기상사무관은 "지난해와 같이 요란한 집중호우가 내릴지는 확언할 수 없다"며 "현재 7∼9월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확률은 30% 정도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해에는 중국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기압능(저기압을 나타내는 선에 둘러싸여 골짜기를 이루는 고기압 구역)이 발달하다 보니 찬 공기가 한반도에 자리하고 있어 강수가 많았다"며 "올해도 한반도에 찬 공기 유입이 많고, 열대 태평양의 대류 활동도 활발하다면 특정 지역에 폭우가 쏟아지는 국지성 호우가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재난 당국은 지난 5월 15일부터 오는 10월 15일까지를 여름철 태풍·호우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18개 중앙부처와 17개 시·도 등 관계기관이 합동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54일이라는 최장기 장마 동안 46명이 숨지고 1조3천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10년간 연평균 피해(15명, 3천147억원)의 3배가 넘는 규모다.
특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지난해 숨진 46명 모두가 재해 우려 지역이 아닌 곳에서 발생한 만큼 사전에 재해 우려 지역 4천309개소, 산사태 취약지역 246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수해 예방 시간을 벌기 위해 댐 방류도 기존 3시간 전에서 24시간 전 예고 체제로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해 섬진강 유역에는 국지성 호우로 갑자기 불어난 물에 제방이 무너지면서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컸다.
당시 댐 방류 예고 시간이 짧아 주민들의 대응 시간이 부족해 수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충남과 부산, 전북, 광주전남 등 수해 우려가 컸던 지역들도 세찬 장맛비 예보에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해 충남도는 주택 1천726동과 농경지 3천여㏊, 예산지역 사과밭 41ha 등이 물에 잠기거나 토사에 매몰됐다.
도는 피해가 컸던 벼와 시설하우스 등을 상습 침수구역으로 선정해 배수로를 개선하고 있다.
또 충남을 지나는 8개 하천 248㎞ 구간에 폐쇄회로(CC)TV 190개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장마철 하천 수위를 체크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부산 전역 지하차도에 수위 감지 자동 통제시스템을 설치하고 올해 안에 조기 경보시스템 5곳도 새로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부산 동구에서는 초량지하차도가 침수돼 3명이 숨졌다.
지난해 21개 저수지가 붕괴한 전북도는 저수지 붕괴 시 신속한 대응 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익산시 왕궁저수지 붕괴를 가정하는 훈련 등을 실시했다.
해상 가두리 양식장이 모여 있는 경남도는 폭우로 양식장이 부서지거나 담수 유입으로 양식어류가 폐사하는 피해를 막기 위해 어민들에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양식수산물 재해보험 가입 등을 당부하고 있다. 정제룡 중대본 자연재난대응과장은 "지난해 수해 피해가 컸기 때문에 우려 지역을 중심으로 행안부는 행안부대로, 각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재해 우려 지역을 점검하고 있다"며 "재난·재해 발생 징후가 나타날 경우 사전 대피를 권고하는 등 선제로 주민 대피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 과장은 "정부의 여러 대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의 동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장마나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수로 등 주변 환경을 미리 정비해주고 대피 명령이 발동하면 서둘러 몸을 피해 달라"고 말했다. (이정훈 양영석 김진방 나보배 기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