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바랜 공산당 100주년 자축 행사…세계인 中 반감 더 커졌다

주요 선진국 국민들의 중국에 대한 반감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퓨리서치센터 조사에 따르면 다수가 중국의 인권 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봤으며, 시진핑 국가주석의 외교 정책을 불신하고 있다. 중국보다는 미국과의 경제 교류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의견도 다수였다.

퓨리서치는 지난 2~5월 17개국 1만9000여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중국 인권 정책에 대해선 한국, 이탈리아, 그리스, 캐나다, 호주, 영국, 네덜란드 등 7개국에서 부정적 답변 비율이 역대 최고를 나타냈다.일본에선 중국에 대한 반감이 88%를 기록했다. 동중국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일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3년의 93%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에선 10명 중 9명이 '중국이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2018년 10명 중 8명에서 비율이 더 올라갔다. 중국 일각에서 최근 김치 종주국이 중국이라고 주장하는 '김치 공정'을 벌이면서 한국인의 중국에 대한 반감이 급격히 높아진 것으로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분석했다.

설문 대상국 가운데 중국의 인권 정책에 가장 후한 점수를 준 국가는 싱가포르였다. 하지만 가장 호의적인 싱가포르에서도 '중국이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60%에 달했다.미국에선 중국에 대한 반감 비율이 76%에 달해 작년 조사보다 3%포인트 올라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한 2017년에 비하면 반감 비율이 30%포인트 뛰었다.

코로나19 대응에 있어선 중국에 대한 평가가 작년 조사보다 올라갔다. 17개국 중 9개국에서 '중국이 코로나19에 잘 대응했다'는 평가가 10%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이탈리아에선 이 비율이 51%에서 65%로 뛰었다.

호주에선 '중국보다 미국과의 경제 교류를 우선해야 한다'는 답변 비율이 2019년 43%에서 올해 59%로 올라갔다. 호주는 지난해 중국에 코로나19 책임론을 앞장서서 제기한 이후 중국으로부터 와인 등 주요 수출품에 관세 보복을 받고 있다.퓨리서치는 2000년대 초반부터 중국에 대한 글로벌 시각을 조사해 왔다. 수년 전부터는 중국의 제한으로 중국 내에서의 여론조사는 하지 못하고 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