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질산·실까지…우린 소재부터 친환경입니다
입력
수정
지면A25
GS, 탄소배출 40배 적은 원유…효성, 폐페트병 재활용 섬유GS칼텍스는 스웨덴 에너지기업 룬딘이 노르웨이 해상유전에서 생산한 원유 200만 배럴을 이달 중 선적한다. 글로벌 저탄소인증을 획득한 ‘탄소중립’ 원유다. 탄소 배출량이 일반 원유에 비해 40배 적다. 회사 관계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휴켐스, 프리미엄 질산 출시 예정…ESG경영, 마케팅에 활용
국내 소재기업이 제품 생산의 출발점인 소재 단계부터 친환경 기술을 잇따라 적용하고 있다. 석유제품 원료인 원유와 의류 소재인 원사, 폴리우레탄 재료인 질산 등 분야도 다양하다.효성티앤씨는 지난해부터 폐페트병 재활용 사업을 벌이고 있다. 버려지는 페트병을 수거해 이를 원료로 리사이클 섬유인 ‘리젠’을 만든다. 가방·의류 제조 업체가 이 섬유를 공급받아 제품을 생산한다.
통상 의류는 원사업체가 제조한 원사로 직물과 편물 등 원단을 제조한 뒤 재단 및 봉제 과정을 거쳐 최종 탄생한다. 원사업체가 굳이 친환경을 앞세워 소비자 요구까지 신경쓸 필요는 없었다. 하지만 ESG경영이 확산하면서 고객인 코카콜라, 나이키, 아디다스 등 글로벌 기업들은 소재 업체에도 친환경 기술 적용을 주문하고 있다.
SK케미칼도 고객사 요구에 맞춰 폐페트병을 활용해 개발한 리사이클 원료인 ‘에코트리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주로 화장품 용기에 들어가는 투명 원료로 활용된다. 지난달엔 휴비스와 손잡고 폴리에스테르 원사 생산에도 나서기로 했다. 2012년 국내 최초로 사탕수수 등 식물성 원료에 기반을 둔 바이오페트 개발에 성공한 롯데케미칼은 바이오페트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삼양이노켐은 올 하반기 옥수수로 만든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물질인 이소소르비드 공장 증설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소재업체가 친환경 기술을 앞세워 프리미엄 시장 창출을 노리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국내 질산(HNO3) 시장의 강자인 휴켐스가 대표적이다. 질산은 폴리우레탄 원료뿐 아니라 반도체 세정제, 폭약제조 등의 원료로 활용된다. 휴켐스의 국내 질산시장 점유율은 90%가 넘는다.
질산의 기초원료는 암모니아다. 휴켐스는 이 암모니아를 전량 수입한다. 휴켐스는 100%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생산되는 암모니아를 들여와 이를 질산으로 만들어 기존 제품 대비 가격이 비싼 프리미엄 제품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휴켐스 관계자는 “고객사들과도 사전 협의를 거쳐야 한다”면서도 “프리미엄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소재 단계부터 친환경을 앞세우는 ESG경영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다만 기업들의 고민이 적지 않다.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소재 단계부터 친환경 기술이 적용되면 제품 생산 단계에서 기업이 자체 마진을 줄이지 않는 한 완제품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친환경 제품 비중이 낮아 기업들이 마케팅 수단 등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비중이 확대되면 제품 생산 단계에서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