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에…은행, 폭발 직전

"빅테크 하청업체 될 것" 반발
상품 제공하는데 수수료까지 내
별도의 연합 플랫폼 구축 검토
vs
빅테크 "은행들 소비자 편익 무시"
"경쟁 벌어지면 수수료 낮아질 것"
사진=연합뉴스
정부 주도로 준비 중인 대환대출 서비스(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두고 은행과 빅테크(대형 IT 기업)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양측이 수수료와 운영 시간 등을 놓고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이 급기야 은행권 공동의 플랫폼을 별도로 구축하겠다고 나섰다. 이대로라면 오는 10월 은행권에서 서비스를 시작하고 연말까지 2금융 대출도 쉽게 갈아타도록 하겠다는 정부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

대환 플랫폼 출범에 암초

금융위원회는 6일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 은행권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최근 은행들이 대환 서비스를 구현할 은행 별도의 플랫폼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겠다는 취지다. 금융위는 2금융권과 빅테크·핀테크, 금융결제원 등을 대상으로 연쇄 간담회를 열기로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업계 간 이해가 첨예하게 갈리고 있어 정해진 일정 내에 서비스를 시작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은행과 카드사, 캐피털, 저축은행 등의 모든 대출 상품을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한눈에 비교하고 손쉽게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그동안 개인이 기존 대출을 갈아타려면 일일이 금융회사별 금리를 비교하고, 복잡한 서류 작업도 거쳐야 했다.

금융위가 금융결제원을 통해 대환 인프라를 마련해 은행, 핀테크업체의 플랫폼과 연결하면 금융 소비자는 각자가 보유한 대출을 은행 앱, 핀테크 앱 등에서 조회하고 낮은 금리의 상품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다. 대환 대출 서비스는 이런 편리함 때문에 1700조원 규모 개인 대출 시장의 격변을 일으킬 ‘게임 체인저’로 인식돼왔다.

하지만 은행들은 이대로라면 빅테크와 핀테크에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금융 소비자들이 은행 앱을 이용하지 않고 강력한 플랫폼을 구축한 빅테크와 핀테크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대출 금리 차가 큰 2금융 업체들의 걱정은 더 크다. 특히 카드사들은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카드론의 특성상 다른 업권에 대출 고객을 단숨에 빼앗길 수 있다고 우려한다. 수수료도 문제다. 금융사는 플랫폼업체에 판매 대행 수수료를 내야 하는데 대출 상품을 제공하는 금융사에는 적절한 보상을 마련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사들은 ‘재주는 곰(금융사)이 넘고 돈은 주인(플랫폼 업체)이 챙기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우려한다.

반대로 핀테크 업체들은 금융사의 이런 반발이 과도하다고 주장한다. 핀테크 업체의 고위 관계자는 “대환 플랫폼 간 경쟁이 벌어지면 수수료가 점차 낮아질 것”이라며 “오히려 은행들이 대환 중도상환수수료를 크게 높여 대환 서비스 자체를 무력화하지 않을지가 걱정”이라고 말했다.

시장 주도? 관 주도? 첨예한 이해 관계

양측은 플랫폼의 운영시간을 놓고도 갈등을 빚고 있다. 금융사들은 은행 영업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서비스하자는 반면 핀테크사들은 24시간 ‘소비자가 상품 조회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맞선다.최근 은행들은 은행연합회를 통해 금융위에 ‘은행권이 연합해 별도의 대환 플랫폼을 만드는 건’에 대해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은행 관계자는 “이대로라면 빅테크에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은행들이 중지를 모았다”며 “금융결제원이 운영하는 계좌이동 서비스 등과 같은 플랫폼을 만들면 소비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환 서비스 구축을 정부가 주도하고 민간업체의 참여를 강요해 이런 갈등이 증폭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비자 편익’이란 명분만으로는 각 업계의 이해관계를 포괄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정부 주도 서비스로는 편의성에서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민간 기업들이 참여하는 서비스를 기획한 것”이라며 “이견을 조율해 정해진 일정대로 서비스를 시작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김대훈/정소람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