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9호선 운행할수록 적자

기본요금 6년째 1250원 '동결'
서울교통공사는 만년 적자의 주요 요인으로 낮은 원가보전율(수송원가÷기본운임)을 꼽는다. 서울지하철은 지난해 승객 한 명을 태우는 데 2061원의 돈을 썼다. 하지만 기본운임은 1250원에 불과하다. 수송원가가 기본운임보다 높은 구조가 고착돼 운행할수록 적자가 나는 구조다.

이런 까닭에 서울교통공사 안팎에선 “원가를 밑도는 기본요금으로 경영 정상화를 기대하는 건 어불성설”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에도 서울지하철의 원가보전율은 66%에 불과했다. 당시 승객 한 명당 수송원가는 평균 1440원이었지만, 평균 운임은 936원에 그쳤다. 작년에는 코로나19로 승객이 줄어들면서 원가보전율이 46%까지 떨어졌다. 실상이 이런데도 지하철 기본운임은 2015년부터 6년째 1250원으로 묶여 있다.

서울지하철의 원가보전율은 세계 주요 도시와 비교해도 크게 낮은 실정이다. 세계지하철연구단체(CoMET)가 2018년 39개 도시 지하철 요금의 원가보전율을 조사한 결과 서울(73%)은 영국 런던(123%), 홍콩(176%), 미국 뉴욕(85%)보다 떨어졌다. ㎞당 운임 역시 서울이 0.07달러로 런던(0.32달러) 홍콩·파리(0.14달러) 뉴욕(0.22달러)보다 쌌다.

서울지하철 요금은 2015년 1050원에서 1250원으로 한 차례 인상된 이후 꿈쩍도 안 하고 있다. 서울시 조례엔 2년에 한 번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추진하도록 돼 있지만 요금 인상이 필요할 때마다 시장이 정치적 부담을 느껴 미루곤 했다. 오세훈 시장도 지난 4월 취임 직후 “코로나19로 시민들이 어려운 상황에서 요금 인상은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서울시 싱크탱크인 서울연구원 내 교통시스템연구실은 대중교통 요금조정위원회를 신설하고 물가·인건비를 반영해 대중교통 요금을 정기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정치적 부담이 된다는 이유로 지하철 요금 인상을 언제까지 미룰 순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