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응서 소외·낙인 등 정신 건강도 고려해야"

유명순 서울대교수…"코로나19 통제 가능성 인식 높여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체계가 확진자 검사와 치료뿐 아니라 시민의 정신 건강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지난 7일 온라인으로 열린 공중보건 위기 대응 체계 구축 연구단 제5회 공개세미나에서 "방역 대응이 3T(검사·추적·치료)에만 국한돼 그 이면의 권리 제한, 고갈·공허, 관계로부터 소외, 낙인에 대한 두려움 등을 고려하지 못한다면 지속 가능한 방역은 시행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취약 계층, 정신건강 등에 초점을 다시 맞추고 장기화한 위기에 맞게 메시지 업데이트를 하는 등의 방안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 교수는 "아무리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사항이라도 미디어를 잘 다루지 못한다면 정부와 전문가가 국민을 설득하지 못할 것"이라며 "과학적 정보의 전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전문가의 과학적 의견이 대중에게 전달되는 맥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공중보건학적 활동에서 소통은 책무성을 지닌 활동"이라며 ▲ 각자 정보를 수용할 때 맥락에 따른 차이가 생긴다는 점 ▲ 소통에는 불일치와 격차가 존재한다는 점 ▲ 역동적인 과정으로 소통을 이해할 것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 교수는 한국 사회가 코로나19 확진자 상황에만 집중해 사망자가 감소한 데 대한 의미 형성이 부족했다고도 지적했다.

한편 유 교수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는 통제할 수 있는 위험인가'라는 질문에 국민 절반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유 교수는 "코로나19 통제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새로운 시도를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소통을 더 정교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