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산업·脫탄소·스토리…10대 그룹株 명암 갈랐다
입력
수정
지면A1
올 시총 변화 분석해보니…‘50.64%.’ 지난 9일 기준 국내 증시에서 10대 그룹 계열사 시가총액이 차지한 비중이다. 이들 그룹의 주가는 국내 증시의 색깔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올 들어 10대 그룹주 시총도 다이내믹하게 움직였다. 포스코와 한화의 약진, 삼성과 롯데의 부진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는 키워드는 변신, 탈(脫)탄소, 리오프닝(경기 재개) 등이다.
포스코, 과감한 저탄소 투자
35조→46조 시총 증가율 1위
한화 '태양광'·현대차 '전기차'
미래 대비 여부, 주가에 반영
11일 한국경제신문이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국내 10대 그룹 중 지난해 12월 31일 대비 이달 9일까지 시총 증가율 1위 그룹은 포스코였다. 이 기간 시총이 35조407억원에서 46조7443억원으로 33.4% 늘었다. 한화(28.80%) SK(23.03%) 현대자동차(22.66%) 등이 뒤를 이었다. 과감한 신사업 투자를 통한 변신, 100년 갈 트렌드로 불리는 탈탄소 노력, 이를 시장에서 인정받은 스토리텔링, 코로나19 이후 리오프닝 수혜 기대 등이 시총 등락을 좌우했다는 평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6904663.1.jpg)
이경묵 서울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혁신 여부가 10대 그룹 시총의 운명을 갈랐다”며 “‘미래에 성장할 산업을 얼마나 잘 일궈나가고 있는가, 의지를 충분히 보여줬는가’가 각 그룹 시총에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10대 그룹 중 시총 증가율 꼴찌는 삼성(0.26%)이었다. 10대 그룹 중 시총 규모 1위 자리는 지켰지만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시총이 각각 13.92%, 10.73% 뛰어오른 걸 고려하면 사실상 뒷걸음질 친 셈이다.
구은서/박재원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