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4세대 D램' 양산

기술력 가늠자 'EUV 공정' 적용

4세대 D램 美 마이크론 이어 출시
스마트폰 제조사에 공급키로
SK하이닉스가 극자외선(EUV) 노광공정으로 10나노(㎚·1㎚=10억분의 1m)급 4세대(1a) D램(사진) 양산에 성공했다. 미국의 마이크론에 이어 SK하이닉스까지 뛰어들면서 4세대 D램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SK하이닉스는 10나노급 4세대 미세공정을 적용한 8Gb(기가비트) LPDDR4 모바일 D램의 양산을 이달 초 시작했다고 12일 발표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EUV 공정 기술을 활용한 신제품”이라며 “올 하반기 복수의 스마트폰 제조사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SK하이닉스가 D램에 EUV 공정 기술을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가 양산에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EUV 공정 수율을 끌어올렸다고 보고 있다. 마이크론의 4세대 D램은 EUV 공정 없이 불화아르곤(ArF) 공정만으로 생산되고 있다. 4세대 D램은 웨이퍼당 생산성이 높다. 선폭이 얇아 그만큼 칩을 작게 만들 수 있다. 1a는 전자가 흐르는 회로의 너비인 선폭이 15㎚ 미만이라는 의미다. 신제품은 이전 세대(1z·10㎚ 중반)의 같은 규격 제품보다 웨이퍼 한 장에서 얻을 수 있는 D램의 양이 약 25% 많다.

신제품은 LPDDR4 모바일 D램 규격의 최고 속도(4266Mbps)를 안정적으로 구현하면서도 기존 제품 대비 전력 소비는 약 20% 적다. LPDDR4는 올해 기준 D램 시장 비중의 75%를 차지하고 있는 규격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출시한 차세대 D램인 DDR5에도 내년 초부터 1a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업계에선 본격적인 4세대 D램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 기업들은 수율이 90% 정도 올라왔을 때 신기술을 발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마이크론은 70~80% 수준의 수율을 달성한 뒤 양산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반도체 전문가들은 기술 리더십의 관건을 EUV로 보고 있다. EUV 공정은 초기 투자 비용이 상당하지만 불화아르곤을 쓸 때보다 공정 단계를 줄일 수 있다. 수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서면 EUV 공정이 훨씬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SK하이닉스가 2025년까지 EUV 장비 구입에 4조7549억원을 투자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삼성전자는 2019년부터 EUV 공정을 도입했고, SK하이닉스도 이번 4세대 D램을 통해 EUV 공정 기술력을 증명했다”며 “EUV 공정을 활용한 제품이 D램 시장의 대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