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편의점주들이 내년도 시간당 최저임금 인상안에 대해 "자영업자의 현실을 외면한 결정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13일 성명을 내고 "지금도 최저임금을 지급할 여력이 없는 편의점이 상당수"라며 "현실을 외면한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협의회는 "그동안 점주들이 근무시간을 늘리면서 인건비를 줄였다"며 "인상된 최저임금이 적용되는 내년부터는 그렇게 하더라도 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이날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5.1% 올린 9160원으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최저임금은 2017년 6000원대(6470원)에서 9000원대로 뛰었다.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한국편의점주협의회 회원들이 지난 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최저임금 삭감을 요구하고 있는 모습. 이 협의회 대표들은 점주가 주당 50시간 근무한다고 가정할 때 가맹본부 로열티와 임대료를 제외하면 월 수익이 100만원 이하라고 설명했다. 사진=한경 DB편의점주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피해 속 인건비 부담 가중을 버틸 수 없다고 토로한다. 지난해 편의점 점포당 월평균 매출에서 인건비, 월세, 각종 세금을 제외하면 점주 순수익은 200만원 남짓에 그친다는 게 협의회 측 설명이다. 편의점 가맹점 단체인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도 "주휴수당, 4대 보험료, 퇴직금을 고려하면 현장에서 지급하는 최저임금은 이미 1만원이 넘는다"고 반발했다. 이번 결정에 대해 코로나19 피해를 자영업자들에게 지우는 셈이 됐다고 협회는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