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0.50% '동결'…코로나 4차 대유행에 불확실성↑

신규 확진자 1600명…일평균 2000명대 전망도
"첫 기준금리 인상 시점 4분기에 무게"
금리인상 연 1회 가능성 높아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7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은 제공
한국은행은 15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7월 기준금리를 현행 0.50% 수준으로 동결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4차 대유행이 본격화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 금리 동결 배경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는 이틀 연속 1600명대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4일 기준 1615명으로 국내 코로나19 사태 후 최다 기록을 세웠다. 일일 확진자 수는 지난 6일부터 1200명을 돌파한 뒤 증가세다. 현재 추세가 이어진다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최대 2000명대에 달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파 속도나 확산 범위에서 이미 과거 세 차례 대유행을 뛰어넘었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코로나19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앞서 이주열 총재는 6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설명회에서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통위 내부에서도 금리 인상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5월 금통위에선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완화적 금융여건의 부작용, 금융 안정 리스크 확대, 인플레이션 우려 등을 이유로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코로나 4차 대유행으로 시장 분위기도 달라졌다. 앞서 7월 금통위에서 소수의견이 최대 2~3명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지만, 만장일치 동결 가능성에 힘이 더 실리고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 4차 유행이 시작되면서 7월 금통위에서 두 명의 금리인상 소수의견 가능성은 사라졌다는 판단"이라며 "만장일치 동결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4차 대유행에 민간 소비 회복 늦어져…"기준금리 1회 인상에 그칠 것"

기자회견에서도 이주열 총재가 매파(통화긴축 신호)적인 입장을 드러내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민간 소비의 회복이 코로나 4차 대유행으로 더뎌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했던 주된 이유는 수출이지만, 민간 소비 역시 기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해 전망치를 조정했다"며 "여름 휴가철과 겹친 코로나 재확산은 소비심리 지표에 타격을 줄 수 있고, 미처 다 회복하지 못한 실물 내수 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직결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매파적 기조보다는 5월 금통위와 비슷한 태도를 견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분기 회복속도는 한국은행 예상보다 빨랐을 것이나, 7월 이후 수도권 중심의 팬데믹 재확산으로 서비스업 전망이 매우 불투명했다"며 "이번 금통위에선 경기판단이 개선되기 보다는 5월에 견지했던 스탠스 유지에 무게가 실린다"고 예상했다.

김지나 연구원도 "이번 고비가 어떻게 진압되느냐에 따라 3분기 GDP가 달려있고, 한국은행의 경제전망 조정 여부까지 이어질 수 있다"며 "지금은 한국은행이 통화정책 방향 선회에 대한 색채를 분명하게 드러앤기엔 한계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지만, 4분기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 총재 발언을 통해 확인한 스탠스를 감안하면 연 1회 기준금리 인상은 확실하지만, 단기간 내 기준금리 인상이 더 진행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선 불확실성이 높다"며 "코로나19 불확실성이 다시 높아지면서 첫 기준금리 인상 시점은 3분기보다 4분기에 무게가 실리면서, 이 총재의 임기 중 기준금리 인상은 한 차례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또 올해 금리인상을 하더라도 2회보다는 1회가 유력하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도는 금융안정을 위해 초저금리 정책 부작용을 막는 차원에서의 금리인상 모색"이라며 "경기 회복을 등한시 할 수는 없는 만큼, 연 2회 금리이상 우려는 과도한 측면이 존재하며 7월 금통위에서 이에 대한 우려는 더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