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육성 담은 '일제 강제동원' 전시회 서울서 개막
입력
수정
민족문제연구소 "세계유산위, '일본에 유감 표명' 결정문 채택해야" "'왜 여기에 와서 이런 일을 당하는가' 혼잣말을 하면서 매일 죽을 생각만 했습니다. 바다를 내려다보면 너무 무서워서 죽을 수도 없었습니다.
"(군함도(하시마·端島) 강제동원 피해자 서정우 씨)
일본 정부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군함도 산업시설에서 벌어진 조선인 강제노동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최근 국제사회에서 제기된 가운데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육성 증언을 다루는 자리가 마련됐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과 공동 주최로 '피해자의 목소리를 기억하라! 강제동원의 역사를 전시하라!' 전시회를 11월 7일까지 서울 용산구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연다고 16일 밝혔다. 전시 영상들은 강제동원 피해자 19명의 증언을 담고 있다.
열네 살에 하시마 탄광에 동원됐다가 이후 나가사키에서 원폭 피해를 겪은 고(故) 서정우(1928∼2001) 씨의 영상이 국내에서 공개되는 건 이번 전시가 처음이다.
사복형사에게 연행돼 다카시마 탄광으로 끌려갔던 손용암(78)씨, 후쿠오카 미이케 탄광·제련소로 강제동원된 류기동(79)·손성춘(76)·이영주(77)씨 영상은 올봄 촬영돼 이번에 최초로 공개된다. 징용 경험을 감추고 살아야 했던 피해자들은 자신만의 언어로 과거를 이야기한다.
군수시설에서 탈출하려던 기억을 떠올리며 천천히 말을 잇다가 어이가 없다는 듯 헛웃음을 짓는 모습에선 그들이 겪었을 고통의 깊이가 가늠될 정도다.
김승은 민족문제연구소 학예실장은 "보통 강제동원을 떠올리면 '배고프다' '아프다' '돈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처럼 단편적으로만 안다"며 "이번 전시는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누구였는지, 어떤 과정으로 가게 됐는지, 현장을 처음 맞닥뜨렸을 때 느낌은 어땠는지, 언어 소통은 어떻게 했는지 등을 느낄 수 있게 증언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시민단체가 제공한 영상도 이번 전시에 포함됐다.
'나가사키 중국인 강제연행 진상을 조사하는 모임'이 제공한 중국인 포로, POW연구회가 제공한 연합군 포로의 증언 영상을 함께 전시해 강제노동이 한국과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보편적인 인권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유네스코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공동조사단은 일본 도쿄에 있는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시찰한 결과 센터가 조선인 강제동원 문제를 사실상 부정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지난 12일 공개했다.
지난해 6월 개관한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군함도 등의 자료가 전시돼 있다.
조사단은 일본이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을 일본의 관점뿐 아니라 한국인 강제징용 노동자 등 피해자의 시각까지 균형 있게 다루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번 조사를 토대로 일본에 강력한 유감을 표명하는 내용의 결정문을 이르면 이달 21일 열리는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공식 채택할 예정이다. 민족문제연구소는 "강제노동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 온 우리 한국과 일본의 시민들은 세계유산위원회가 공개한 권고를 지지하며 환영의 뜻을 표한다"면서 "세계유산위원회가 이 권고를 채택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군함도(하시마·端島) 강제동원 피해자 서정우 씨)
일본 정부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군함도 산업시설에서 벌어진 조선인 강제노동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최근 국제사회에서 제기된 가운데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육성 증언을 다루는 자리가 마련됐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과 공동 주최로 '피해자의 목소리를 기억하라! 강제동원의 역사를 전시하라!' 전시회를 11월 7일까지 서울 용산구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연다고 16일 밝혔다. 전시 영상들은 강제동원 피해자 19명의 증언을 담고 있다.
열네 살에 하시마 탄광에 동원됐다가 이후 나가사키에서 원폭 피해를 겪은 고(故) 서정우(1928∼2001) 씨의 영상이 국내에서 공개되는 건 이번 전시가 처음이다.
사복형사에게 연행돼 다카시마 탄광으로 끌려갔던 손용암(78)씨, 후쿠오카 미이케 탄광·제련소로 강제동원된 류기동(79)·손성춘(76)·이영주(77)씨 영상은 올봄 촬영돼 이번에 최초로 공개된다. 징용 경험을 감추고 살아야 했던 피해자들은 자신만의 언어로 과거를 이야기한다.
군수시설에서 탈출하려던 기억을 떠올리며 천천히 말을 잇다가 어이가 없다는 듯 헛웃음을 짓는 모습에선 그들이 겪었을 고통의 깊이가 가늠될 정도다.
김승은 민족문제연구소 학예실장은 "보통 강제동원을 떠올리면 '배고프다' '아프다' '돈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처럼 단편적으로만 안다"며 "이번 전시는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누구였는지, 어떤 과정으로 가게 됐는지, 현장을 처음 맞닥뜨렸을 때 느낌은 어땠는지, 언어 소통은 어떻게 했는지 등을 느낄 수 있게 증언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시민단체가 제공한 영상도 이번 전시에 포함됐다.
'나가사키 중국인 강제연행 진상을 조사하는 모임'이 제공한 중국인 포로, POW연구회가 제공한 연합군 포로의 증언 영상을 함께 전시해 강제노동이 한국과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보편적인 인권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유네스코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공동조사단은 일본 도쿄에 있는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시찰한 결과 센터가 조선인 강제동원 문제를 사실상 부정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지난 12일 공개했다.
지난해 6월 개관한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군함도 등의 자료가 전시돼 있다.
조사단은 일본이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을 일본의 관점뿐 아니라 한국인 강제징용 노동자 등 피해자의 시각까지 균형 있게 다루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번 조사를 토대로 일본에 강력한 유감을 표명하는 내용의 결정문을 이르면 이달 21일 열리는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공식 채택할 예정이다. 민족문제연구소는 "강제노동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 온 우리 한국과 일본의 시민들은 세계유산위원회가 공개한 권고를 지지하며 환영의 뜻을 표한다"면서 "세계유산위원회가 이 권고를 채택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